긱블
-
매직 스프링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8. 26. 00:10
매직 스프링. 2개의 용수철을 한 개의 끈이 지탱하고 한쪽은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한쪽은 추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이 용수철들을 헐거운 끈이 묶여 있을 때, 2개의 용수철을 연결하는 가운데 끈을 자르면 상식적으로 헐겁게 묶인 줄이 팽팽해지면서 추가 아래로 내려갈 것 같지만, 실제로는 줄은 팽팽해지지만 용수철이 줄어들며 추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자르기 전에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는 추의 무게 *2였는데, 가운데 줄을 자르게 되면 추를 잡고 있는 용수철이 두 개가 되기 때문에 늘어난 길이는 추의 무게 1/2가 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보고 싶으면 아래 영상 참조. https://youtu.be/ldOkAYdnxeQ
-
텐세그레티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8. 25. 00:20
텐세그레티 구조물. 중력을 거스르는 구조물로도 알려져 있다. 줄의 인장력을 이용 힘의 균형을 맞춰 물체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장치를 뜻한다. 텐세그리티는 'tension(인장) + structure integrity(압축)'의 합성어로 밀고 당기는 힘인 인장력과 압축력만으로 평행상태를 이루어 그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뜻한다. 실제 건축에서도 사용되는데 미국의 니들 타워와 호주의 쿠릴파 브리지가 이 텐세그리티 기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우리나라 올림픽 체조경기장의 지붕도 텐세그리티 기법을 돔에 적용한 케이블 돔 구조물이라고 한다. 실제 이 텐세그리티 지붕은 대규모 공간을 가볍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많은 집합시설의 지붕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밖에 테이블이나 텐트 등에도 구조가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