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
-
빛을 내뿜는 물고기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23. 00:20
인터넷에 "마리아나 해구 밑바닥에서 발견된 불 뿜는 물고기. 2천 도에 달하는 불을 내뿜는데 로켓과 원리가 비슷하다"라는 설명이 붙어 돌아다니는데 사실 카디널피시(cardinalfish)의 일종이다. 이 물고기가 뱉어내는 것은 불 같지만 사실은 패충강에 속하는 작은 생물들이다.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패충강은 물고기에게 잡아먹히는 순간 루시페린이라는 발광효소와 발광소를 이용해 화학반응에 의한 광생성 작용으로 만들어진 빛을 내뿜어 목숨을 구하는 성질이 있는데, - 반딧불이 빛을 발산하는 것과 유사한 메커니즘이라고 한다 - 이 패충강을 그대로 삼켰다가 자신을 보호할 필요가 생길 때 쏘아내서 포식자의 주의를 돌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
눈에서 빛이 나는 발광눈금돔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23. 00:10
발광눈금돔(Splitfin flashlightfish). 태평양의 필리핀, 인도네시아, 일본 등 200~400m 정도의 얕은 암초와 절벽 근처 따뜻한 물에 살며 겨울철에는 더 얕은 물로 이동한다. 최대 35cm까지 자란다고 하며, 낮에는 숨어있다가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다. 눈 아래에 생물발광 박테리아가 들어 있는 두 개의 콩 모양의 발광 기관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발광박테리아에게 자신의 조직을 먹이로 주고 산소도 공급해 준다. 그래서 물고기가 먹이를 먹지 못하면 천천히 빛을 내는 능력을 잃는다고 한다. 또한 이 기관을 뒤집어서 빛을 껐다 켰다 할 수 있다.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데 어두운 밤에 이 발광 조직을 켜서 먹이를 찾는 데 사용한다. 또한 포식자를 피할 때도 사용되는데, 어둠 속에서 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