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점
-
비슷하면서도 다른 한중일의 젓가락 문화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1. 00:20
젓가락을 처음 발명한 건 중국으로 약 3천년 전으로 추정된다. 원래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쓰다가 면류 요리가 발달하면서 젓가락 문화가 발달했다고 한다. 이것이 1,800여년 전에 한국으로, 1,500년 전에 일본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한중일의 식생활은 가깝고도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일단 한중일중 유일하게 한국만 금속 젓가락을 쓴다. 그렇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오래 쓸 수 있다. 재질이 금속이라 정확한 힘 전달이 가능해져서 젓가락으로 김치를 찢고 깻잎절임을 한장씩 떼고, 도토리묵까지 집을 수 있게 되었다. 김치같은 절임채소를 먹기 좋게 끝이 납작한 것도 특징이다. 중국 젓가락은 나무로 만들어져서 긴데, 중국인들은 동그란 식탁 가운데에 큰 접시에 반찬들을 놓고 자기 그릇에 덜어먹는 스타일이기 때..
-
육회와 육사시미, 뭉티기의 차이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1. 12. 00:10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쇠고기를 생으로 먹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육회, 육사시미, 뭉티기로 나눌 수 있다. 사실 소의 엉덩이 안쪽 우둔살이나 소 뒷다리 안쪽 부분인 처지게살을 가장 많이 쓰고, 아니면 홍두깨살이나 토시살, 치마살 등으로도 만든다. 특히 도축된 고기를 바로 먹어야 한다. 우리가 뷔페 등에 가서 주로 먹는 육회는 숙성된 생고기를 길게 채썰고 설탕, 간장, 기름 등의 양념장과 날달걀, 배 등을 섞어 먹는 음식이다. 보통 우둔살이나 사태, 채끝살 등을 이용해서 만든다. 엄밀히 말하면 육회 무침이라고 할 수 있다. 육사시미는 쇠고기를 마치 생선회처럼 얇게 썰어 먹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도축 직후의 고기를 써서 만드는데 사후강직 이전의 고기를 써야 맛있다고 한다. '한국인의 밥상'에서 도축한 지 한..
-
두루미, 백로, 왜가리, 황새 차이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5. 22:00
두루미, 백로, 왜가리, 황새 차이점. 두루미 - 우리나라에서 겨울에만 볼 수 있는 겨울철새. 뒷발가락이 짧고 다리 위에 붙어있어 걸을 수 있으나 나뭇가지에 앉을 수 없음. 둥지를 땅위에 만들고 땅위에서 가족 단위로 생활함. 머리에 붉은 피부가 노출되어 있음. 날 때 일자목이 됨. 장수와 행복의 상징, 신선이 타고 다니는 새로 알려짐 백로와 왜가리 - 여름철새. 집단생활함. 날 때 목을 S자로 굽힘. 네 번째 발가락이 길어서 나뭇가지를 잡을 수 있어 나무 위에 앉을 수 있음. 백로는 다리와 부리를 제외한 부분이 거의 하얀 깃털로 덮여 있으며, 왜가리는 전반적으로 회색을 띠는 깃털을 가지고 있음. 그래서 백로는 두루미로, 왜가리는 재두루미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음. 황새 - 백로와 비슷하나 훨씬 더 크며 다..
-
절도, 특수절도, 점유이탈물횡령 차이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12. 21:09
절도, 특수절도, 점유이탈물횡령 차이점. - 점유이탈물횡령 - 길에 떨어져 있는 지갑을 자기가 꿀꺽했다. - 절도 - 가게에서 물건을 훔쳤다. 남의 농작물을 서리했다. - 주거침입절도 - 남의 집에 몰래 들어가서 물건을 훔쳤다. - 야간주거침입절도 - 밤에 남의 집에 몰래 들어가서 도둑질을 했다. - 특수절도죄 - 잠긴 문을 뜯고 들어가서 훔쳤다. 물건을 훔칠 때 망을 보는 공범이 있었다. 절도죄의 4가지 성립요건. 1. 타인의 재물이라는 사실의 인식 (예를 들어 내 것인 줄 알고, 혹은 결재한 것으로 오인하여 남의 재물을 들고 간 경우 절도죄에 해당하지 않음) 2. 소유자의 의사에 반해야 함 (재물의 소유자가 괜찮다고 허락하면 성립하지 않음. 장발장에게 은촛대와 은식기를 준 신부님같이) 3. 불법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