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
특이한 이빨을 가진 상어 헬리코프리온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31. 00:20
헬리코프리온. 페름기에 살았던 상어의 조상 격 연골어류. 이름은 그리스어로 '나선형 톱'이라는 뜻이다. 1899년 러시아의 지질학자이자 고생물학자인 알렉산더 카르핀스키가 우랄 산맥에서 화석을 처음 발견했는데 나선형으로 돌돌 말린 모양의 이빨 때문에 과학자들이 정체를 알아내는데 고생했다. 이 나선형 턱이 몸 어느 부분에 붙어 있는지도 정확하지 않아서 위턱에 붙어 있었다는 설, 등지느러미나 꼬리지느러미에 붙어있었다는 설 등 다양한 설이 나왔다. 그러다가 2013년 아이다호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IMNH 37899 화석 표본 - 헬리코프리온의 머리와 턱 부분을 구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연조직이 남아 있었다 - 을 CT스캐너와 같은 첨단 기기를 이용해서 분석하고 3차원 모델링을 해서 연구한 결과 소용돌이 모양의..
-
뱀이 자기 입보다 더 큰 먹이를 먹는 방법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1. 17. 20:12
뱀은 큰 먹이를 삼킬 수 있도록 아래위 턱이 엄청나게 벌어진다. 사람의 경우 위턱과 두개골이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지만 뱀의 경우는 위턱과 두개골이 인대로 연결되어 있어서 위턱도 별도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위턱과 아래턱은 관절이 아니라 인대로 연결되어 있어 크게 벌릴 수 있는데, 추가로 이중관절과 같은 연결을 하는 정방형 뼈가 연결되어 있어 아래위 턱이 최대한 분리되어 최대 150도까지 벌릴 수 있다. 또한 뱀은 아래턱 고정되어 있지 않고 2개의 인대로 연결되어 있어 아래턱이 좌우로 분리되는데 이로 인해 훨씬 더 큰 물체를 삼키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