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
-
우생학의 역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0. 24. 00:10
우생학(優生學, eugenics) 인간이라는 종의 유전형질을 인위적으로 육종하여 우수한 종을 만들려는 학문을 뜻한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아 다윈의 고종사촌인 인류학자 프랜시스 골턴이 처음 학문으로 정의했다. 골턴은 런던에 상경한 스코틀랜드 출신의 노동자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에서 범죄율이 매우 높다는 근거를 가지고 이들을 격리하고 그들의 피가 사회에 안 퍼지도록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다윈도 골턴의 주장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점점 골턴의 주장이 극단적으로 변하고 논란이 되면서 이에 반대하는 의견으로 돌아섰다고 한다.(근데 다윈의 아들은 우생학을 믿어서 골턴의 뒤를 이어 우생학협회의 회장직을 맡았다) 사실 고대에서부터 우생학과 유사한 행동은 있었다. 스파르타에서는 장애를 가진 ..
-
바비루사 멧돼지와 다윈의 성 선택 진화이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6. 12. 20:15
바비루사. 인도네시아에 사는 멧돼지과 동물. 현지에서는 '사슴 돼지'라고도 불린다. 수컷에게서 나는 특유의 엄니는 위턱에서 나는 엄니인데 콧등의 피부를 뚫고 위로 자란다. 이 엄니는 머리를 향해 자라나는데 여기에 두개골이 꿰뚫려 죽는 경우도 있다. 이 엄니는 먹이를 구하거나 먹는데도, 상대방과 싸울 때도 사용되지 않아 아무런 실용성이 없고 오로지 암컷에게 성적인 어필을 하는 역할만 있다. 빠져나온 엄니가 보다 크고 멋있을수록 무리의 서열이 높아지고 암컷을 거느릴 수 있게 된다. 성 선택을 위해 과시기관이 진화한 동물들 중 이 과시기관으로 인해 자신의 목숨이 직접적으로 위협받는 종은 바비루사가 거의 유일하다. 고기가 상당히 맛있어서 남획되는 바람에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어서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