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
죽음의 5단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26. 00:10
죽음의 5단계.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로 임종 연구분야의 개척자인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사람이 죽음을 선고받고 이를 인정하기까지의 심리 변화를 5단계로 구분한 것이다. 1. 부정 :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음. 아무 일 없는 듯 행동하며 죽음에 대한 어떤 이야기도 꺼내지 않음. "아니야. 나는 믿을 수 없어" 2. 분노 : 자신의 분노를 이해한 후 자신의 감정을 화나 반항으로 표출. 목소리를 높여 불평하며 주위로부터 관심 유도. "나는 아니야. 왜 하필이면 나야?" 3. 타협 : 죽음을 부정해도 피할 수 없는 상황임을 이해하고 삶이 얼마간이라도 연장되길 희망함. 회복을 위한 현실적, 또는 비현실적 노력을 기울임. "XX할 때까지만이라도 살게 해 주세요." 4. 우울 : 정서적으로 ..
-
위안부를 부정하고 소녀상 철거운동을 하는 김병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1. 27. 18:34
김병현. 1958년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학사, 석사, 박사 수료. 동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수료. 성균관대학교와 경원대학에서 강사를 했다. 독립기념관 전문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프리덤 뉴스 대표이사와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대표 등을 역임했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위안부가 강제로 동원되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현재 위안부를 인정하는 측에서 제대로 된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위안부피해자법에 부합하는 일본군위안부피해자는 단 1명도 없으며, 한국 국사교과서의 위안부 관련 내용이 왜곡되었거나 잘못 기술되어 한일간 학생들에게 잘못된 역사관을 심어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인근에서 매주 수요일 개최되고 있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