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
-
설사의 속도는 정말 70km/h일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9. 3. 00:10
설사의 종류에는 음식으로 인한 비감염성 설사와 세균이나 감염으로 인한 감염성 설사로 나뉜다. 이중 비감염성 설사는 너무 많은 음식이 체내에 들어갔을 때나 맵고 짠 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했을 때, 몸살감기 등 신체능력이 저하되었을 때 우리 신체 장기가 영양과 수분을 제대로 흡수 못 한 채 음식물을 내보내는 행위이다. 원래 사람이 섭취한 음식물들은 여러 소화효소를 만나면서 중화되고 천천히 소장과 대장을 거치면서 수분과 영양분이 충분히 흡수된 후 나와야 정상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이 모두 대변으로 변해서 배출되는 데는 24시간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설사는 정상적인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급행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사가 나오게 되면 항문이 쓰라린 경험이 많을 것이다. 설사가 나올 때 항문이 통증을 느..
-
대체감미료 말티톨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3. 30. 12:11
말티톨. 당알코올의 하나로 포도당과 소르비톨이 합쳐진 형태. 감미도 0.9로 설탕과 비슷한 감미도를 내기 때문에 설탕을 대신해서 식품에 넣는 대체당으로 쓰이고 있다. 실제 설탕이 들어있지 않다는 '제로'식품 중 말티톨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다. 다른 대체당에 비해 맛이 뛰어나고 제조과정이 단순해 생산단가가 낮아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대체당이다. 열을 받으면 변성되어 가열이 필요 없는 희석식 소주, 간장, 초콜릿, 젤리, 아이스크림 등에서 사용된다. 문제는 이 말티톨의 GI지수(혈당이 상승하는 속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가 설탕의 53%인 35에 달한다.(설탕은 66) 이는 다른 대체당인 자일리톨의 13, 이소말트의 9, 에리스리톨의 0에 비해 엄청 높은 수치로 당알코올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분자구조 자..
-
급 설사 방지용 약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1. 2. 21:13
스토파. 일본에서 만든 지사제. 과식이나 스트레스, 기타 돌발성의 급한 설사나 통증을 수반하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음. 물없이 간단히 입에서 녹여먹을 수 있음. 먹으면 약 15분 정도 후부터 효과가 나타나는데 약 2시간 정도 지나면 다시 배가 아프다고 함.(물론 개인차는 있음) 즉 설사를 멎는다는 개념보다는 긴박한 상황에서 조금 딜레이 시키는 거라고 생각하면 됨. 설사의 원인이 되는 '장 이상 수축'은 자율신경중 하나인 부교감 신경이 활발해져서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은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악화됨. 이때 스토파에 들어있는 Roth 성분이 아세틸콜린을 차단하여 대장의 이상 수축에 의한 설사를 억제함. 또한 약의 성분중 타닌산 베르베린은 장내에서 타닌산과 베루베린으로 나뉘게 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