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
실내에서 모자를 벗는 예의는 어디에서 왔을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29. 00:10
실내에서 모자를 벗는 - 특히 어른과 함께 있을 때 - 행동이 예의가 된 것은 서양에서 넘어온 매너이다. 우리의 경우 조선대까지만 하더라도 천민을 제외한 모든 남성은 실내외를 막론하고 모자를 썼다. 오죽하면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조선을 '모자의 나라'라고 하기도 했다. 넷플릭스에서 킹덤 드라마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을 때도 등장인물들이 쓰고 있는 형형색색의 모자가 서양인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했다. 실내에서 모자를 벗는 것이 일반화된 시기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로 추정된다. 이 때부터 실내에서 모자를 벗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는 서양의 예절이 일본으로 넘어왔고 다시 한국으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복 문화가 침투한 교실에서는 실내탈모가 기본 원칙이었고 이것이 군사정권 시절을 지나 자..
-
중국이 실내에서 신발을 신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 00:10
중국도 의외로 실내에서 신을 신고 다니는 문화이다. 그래서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의 친구 집에 놀러 갔다가 문화충격을 받는 경우도 왕왕 있다고 한다. 중국의 집들은 대부분 서양과 같은 입식으로 지어져 있으며 침대라고 할 수 있는 침상과 의자, 식탁 문화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신발을 신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바닥도 온돌을 까는 한국이나 다다미로 만드는 일본에 비해 콘크리트나 대리석, 타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입식 문화에 익숙하다 보니 차가운 바닥에 앉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닥이 꼭 깨끗할 필요가 없었고, 그러다 보니 신발을 신고 다니게 된 것이다. 실제 중국의 가옥 구조를 보면 대부분의 집안은 신발을 신고 다니게 되어 있고 침대에서만 신발을 벗는 경우가 많다. 밖에서 신던 신발을 그대로..
-
미국사람들이 신발을 신고 침대 위로 올라가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5. 26. 16:31
미국 사람들이 집안에서 신발을 신고 다니고 잘 때도 신발을 신은 채 침대에 올라가는 이유는 의외로 건축의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유럽의 고대 주거문화(귀족 말고 일반인들 기준)를 보면 집 안에 아예 가축들과 함께 살았다. 벽과 지붕은 있었지만 바닥은 그냥 맨바닥이었다. 그러니 당연히 집 안에서 신발을 신는 것이 당연했다. 개척시대의 미국 또한 상황은 별반 차이가 없었다. 자원도 부족하고 건축기술도 부족했기 때문에 바닥 역시 흙 위에 그냥 판자 까는 게 다였으니 바닥은 금방 차갑고 지저분해졌을 것이다. 침대라는 개념도 그런 바닥에서 잘 수 없기 때문에 자는 전용의 공간으로 만든 것으로 봐야 한다. 우리처럼 밖과 방을 완벽히 구분하고 온돌이라는 바닥 난방이 있는 상황과는 다른 개념에서 봐야 한다. 하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