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
우주에서의 성생활과 생식활동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1. 30. 00:10
우주에서의 성생활은 NASA의 매우 중요한 관심사 - 하지만 결코 드러낼 수 없는 - 중 하나이다. 특히 일론 머스크가 공공연하게 화성 이주 계획을 떠벌이고, NASA의 아르테미스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장기간 동안 우주에서 생활하는 것이 현실이 된 현재에는 더욱더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인간이 우주에서 어떻게 애를 낳고 키우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하지만 동물들의 생식활동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1979년 소련의 생화학 위성인 코스모스 1129호에서 18일간 설치류들의 교미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지구로 돌아왔을 때에는 몇 마리는 분명히 임신 상태였는데 실제로 새끼를 낳지는 못했다. NASA는 임신한 시궁쥐를 우주에 보냈었는데 이후 지구에 돌아와서 태어난 새끼쥐는 무중..
-
우주에서 나라가 없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우주비행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5. 19. 00:20
1991년 5월 18일 세르게이 크라칼료프는 5개월간 머무를 계획으로 우주정거장 미르로 향했다. 그러나 그사이 소련에서는 군사쿠데타가 일어나고 고르바초프가 복귀하는 등 엄청난 혼란이 발생하고 우주에 있던 세르게이는 잊혀진 존재가 되었다. 지상에 있는 동료들이 세르게이를 구하려고 했을 때는 이미 소련은 붕괴되어 버렸고 뒤를 이은 러시아도 재정이 파탄난 상태여서 세르게이를 데려오기 위해 우주선을 쏠 여력이 없었다. 결국 러시아는 세계 각국에 호소, 이를 받아들인 독일정부가 약 200억원의 재정지원을 하게 되어서 1992년 3월 17일 그를 귀환시키기 위한 우주선이 발사되었고 3월 25일 귀환에 성공한다. 세르게이가 313일 만에 밟아 본 땅이었다. 이러한 크리칼료프의 이야기는 다큐멘터리로도 제작되었다. MB..
-
테니스 라켓 효과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8. 24. 00:20
테니스 라켓 효과. 삼차원 물체를 공중에 띄울 경우 각운동량이 가장 작은 축과 가장 큰 축으로의 회전은 안정적이지만, 나머지 한 축으로의 회전은 불안정해져서 생기는 현상. 구 소련의 우주비행사 블라디미르 자니베코프가 발견했다 하여 '자니베코프 효과'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그보다 100년 전의 물리학자들도 알고 있었다. 무중력 상태뿐만 아니라 지구상에서도 관측된다. 중간축 이론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저 상태에서는 손잡이를 돌리는 힘만 있을 것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너트가 빠지면서 생기는 힘 한 가지가 더 있다. 일단 손잡이가 도는 힘이 너무 크니까 회전을 하다가 밖으로 빠져나오려는 힘에 의해서 나사 부분의 회전각이 커지고, 그러다가 서로의 운동에 간섭이 되어 뒤집어지는 것이다. 여담으로 무중력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