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
추축국(樞軸國)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6. 23:42
추축국(樞軸國). 제2 차 세계 대전 때에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맺은 삼국 동맹을 지지하여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연합국과 대립한 여러 나라.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일본이 대표적인 주요 국가이며, 그 외 헝가리, 루마니아, 불거리아, 유고슬라비아가 가입국이다. 최초의 아이디어는 헝가리의 줄러 곰보스 총리가 고안했으며, 추축국이라는 명칭은 1936년에 무솔리니가 '유럽의 국제관계는 로마와 베를린을 연결하는 선을 추축으로 변화할 것이다'라고 연설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영어로는 중심선, 축 등을 의미하는 Axis라고 한다. 2002년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이라크, 이란, 북한을 지명하면서 악의 축(axis of evil)이라고 표현한 적도 있다.
-
사우디아라비아 국기의 뜻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5. 7. 00:20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 국기는 1973년 3월 15일에 제정되었다. 2:3 가로 형태로 초원의 성장을 의미하는 색인 녹색 바탕에 흰색 글씨와 칼이 그려져 있다. 녹색은 또한 마호메트가 가장 좋아하던 색깔로 이슬람교를 상징하는 색깔이자 아랍 연방의 색이기도 하다. 이슬람 서예 타입 중 하나인 Thuluth체로 쓰인 글씨는 이슬람에서 신성히 여기는 신앙 고백 구절인 샤하다의 "알라 이외에 다른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라는 뜻이다. 아래에 있는 칼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 국왕인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의 승리를 나타내며 이슬람교와 알라를 이교도로부터 사수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검은 윗부분으로 살짝 휜 모양이지만 국기의 검은 곧게 그려져 있는데 이는 공정성과 정의를 뜻한다..
-
피안화/석산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11. 00:20
피안화(彼岸花). 우리나라 정식명칭은 석산이다. 꽃무릇이라고도 부른다. 백합목 수선화과로 '지옥의 꽃', '죽은 이의 꽃'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피안화라는 이름은 일본 이름인데 가을의 피안 시기(춘분이나 추분 전후 각 3일간을 합한 7일간, 또 그즈음의 계절)에 피어난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또, 잎이 나와 있다가 5월경이 다 말라버리고 죽은 듯 여름을 지내고 가을이 되면 초록색 꽃대가 쑥 자라서 다시 붉은 꽃을 피우는 특이한 행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 삶 자체가 현생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열반의 세계에 드는 것 같아서 피안화라고 부른다는 이야기도 있다. 꽃과 잎이 다른 시기에 나와서 서로 만나지 못한다는데서 만나지 못하는 사랑이라는 이미지도 있다. 국내 이름인 석산은 돌틈에서 나오는 마늘종 모양..
-
'머리를 올린다'는 말의 뜻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9. 25. 00:10
"머리를 올린다"는 말은 무언가를 처음 했을 때, 특히 골프에서 첫 라운딩을 가졌을 때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 '머리를 올린다'라는 뜻은 어린 기생이 정식으로 기생이 되어 머리를 쪽지는 것, 즉 첫 경험을 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여자가 시집을 가서 댕기머리를 풀고 비녀를 꽂아 쪽진 머리를 한 것을 뜻하기도 한다. 실제 여성계에서는 이 문구가 성 비하 발언이라며 '첫 라운딩'이란 표현을 쓰자고 주장한다. 다만 관용적으로 의미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여성들도 사용하며, 머리를 올린다는 뜻 중에 남성이 결혼하여 상투를 트는 것을 뜻하는 뜻도 있기 때문에 심각한 비하 발언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재미있는 것은 첫 골프장 경험을 성과 관련한 표현으로 쓰는 것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다. 미국은 "Pop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