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
성균관, 차례 간소화 거듭 권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 18. 23:56
차례는 조상에게 달과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왔음을 알림과 동시에 시식과 절찬을 천신하는 의례이다. 과거에는 여러 번의 차례가 있었으나 현재는 명절로 통합되었다고 보면 된다. 차례에 차를 올리는 것은 사실 중국의 전통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유교를 받아 내려오면서 차례라는 이름을 쓰긴 했지만 차를 올린다는 개념보다는 조선시대 관혼상제의 규범이었던 주자가례에 있던 천신례와 참례가 차례로 통합되면서 이름만 가져온 거라고 보면 된다. 과거에도 벼농사를 짓던 지역에서는 차례를 지냈으나, 밭농사를 주로 하던 북부지방에서는 차례가 유명무실하다가 차례가 전국적인 명절로 확산되자 나중에야 추석에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여담으로 조선시대땐 차 문화가 거의 없어졌는데 남부 지방의 사원들에는 차 문화가 법..
-
한반도 차의 역사와 차례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 2. 00:20
차례는 조상에게 달과 계절, 해가 바뀌고 찾아왔음을 알림과 동시에 시식과 절찬을 천신하는 의례이다. 과거에는 여러 번의 차례가 있었으나 현재는 명절로 통합되었다고 보면 된다. 차례에 차를 올리는 것은 사실 중국의 전통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유교를 받아 내려오면서 차례라는 이름을 쓰긴 했지만 차를 올린다는 개념보다는 조선시대 관홍상제의 규범이었던 주자가례에 있던 천신례와 참례가 차례로 통합되면서 이름만 가져온 거라고 보면 된다. 과거에도 벼 농사를 짓던 지역에서는 차례를 지냈으나, 밭농사를 주로 하던 북부지방에서는 차례가 유명무실하다가 차례가 전국적인 명절로 확산되자 나중에야 추석에 차례를 지내는 풍습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여담으로 조선시대땐 차 문화가 거의 없어졌는데 남부 지방의 사원들에는 차 문화가 ..
-
차례(茶禮)의 진정한 의미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27. 23:44
차례(茶禮)는 말 그대로 차를 올리는 것으로 말 그대로 다과상의 개념이었음. 제사도 차례에 고기 탕, 국, 나물 정도가 추가됨. '주자가례'를 봐도 '포, 채, 과' 이런 식으로 뭉뚱그려놨을 뿐임. 일각에서는 추석에 '수확물을 조상에게 바치는' 얘기를 하는데 추석상에 오르는 사과나 배는 원래 추석 지나야 수확하는 과일들로 작년 수확물임. 원래 제사는 왕족이 하늘에 지내던 것인데 이게 유교의 확산과 함께 하늘+조상에게 하는 걸로 바뀌고, 임진왜란 이후 몰락한 양반들이 시골로 귀향하면서 돈으로 양반이 된 신흥 양반들과 자신들을 구분짓기 위해 족보학과 제사문화가 발달하게 됨. 이후 조선 말 계급질서가 붕괴하면서 상민들이 군역을 피하기 위한 신분세탁으로 양반이 70%까지 차지하게 되고, 갑오경장을 통해 신분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