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
한글 창제를 반대했다가 파직당한 정창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4. 5. 00:10
정창손. 조선 전기에 대제학,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집현전 응교로 재임하던 시기에 한글 창제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되었다. 사실 당시 세종이 '불만 있으면 기탄없이 반대의견을 올리라'라고 해서 부제학 최만리, 직제학 신석조, 직전 김문 등이 반대 상소를 올렸었는데 세종은 이들 모두를 하루 동안 의금부에 하옥시켰다가 다음날 풀어주었으나 정창손만은 유일하게 파직시켰다. 세종이 극대노하여 정창손을 파직한 이유는 그가 성리학자로서 해서는 안 될 말을 했기 때문이다. 정창손은 한글 창제를 반대하며 '삼강행실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해서 백성들에게 읽게 하고 가르쳐 봐야 사람들이 바뀌지 않는다.' 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누구나 수양을 통해 성인이 될 수 있으므로 평생 수양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
사재를 털어 우리 문화재를 지킨 전형필과 간송미술관카테고리 없음 2023. 5. 7. 22:13
전형필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박물관인 보화각을 설립한 수장가이자 문화재수집가이다. 증조 때부터 지금의 종로 일대의 상권을 장악한 10만 석 부호가의 상속권자였다. 친척집에 양자로 들어갔다가 조부모와 삼촌, 부모가 거의 같은 시기에 돌아가시면서 친부모와 양부모의 모든 재산을 물려받아 백만장자가 되었다. 말이 백만장자이지 전국 최고의 부호였다. '나라 잃은 백성을 도와주는 변호사가 되어라'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일본 와세다대학교에서 법학 공부를 하다 오세창(서예가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하나)에게 감흥을 받아 일제의 식민 통치 아래 말살되어 가는 민족정기를 되살리기 위하여 우리 민족 문화 전통을 단절시키지 말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민족 문화의 결정체인 미술품이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