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련
-
응급 상황 대처 - 경련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2. 25. 23:57
경련은 뇌세포의 비정상적 자극으로 몸의 근육이 비자발적으로 수축하는 증상이다. 신체일부나 전체에 발생하며 온몸이 떨리면서 의식 잃을 수 있다. 아이들은 고열만으로도 경련이 발생하며, 노인은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경련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뇌질환은 뇌전증(과거엔 간질이라 불렸음)이라고 부른다. 경련이 발생한 사람을 발견하면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하여 도움을 요청한다. 환자는 이동하다 다칠 위험성이 있으므로 함부로 이동하지 말아야 하며, 대신 주변에 뾰족한 물건 등을 치워야 한다. 가능하면 대상자를 침대나 바닥에 눕히고 베개를 받쳐 머리 손상을 보호하면 좋다. 경련이 발생하면 상의를 느슨하게 해서 호흡을 편하게 하고 고개를 가만히 옆으로 돌려서 질식을 방지한다. 경련을 강제로 억제하려고 ..
-
갓 도축한 고기가 경련을 일으키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3. 26. 00:10
동물 근육의 근원섬유는 액틴이라고 불리는 가느다란 섬유와 미오신이라고 불리는 굵은 섬유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살아 있는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것은 액틴과 미오신 분자들 간이 서로 미끄러진다는 필라멘트 활주이론에 의해 근육수축과 이완이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한 것이 칼슘이온과 ATP(아데노신 3인산)가 필요하다. ATP는 모든 생물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 존재하는 생체 내부에 사용되는 연료와 같다. 근육수축이 일어날 때 미오신의 돌기부는 ATP를 분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액틴과 미오신의 결합에 의한 수축과 이완에 사용되며, 이 일련의 반응이 일어나는 계기를 만드는 것이 칼슘이온이다. 동물이 죽으면 체내의 모든 대사는 멈추지만, 각 조직은 각각의 부위를 조절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