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트
-
탕후루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30. 00:10
탕후루(糖葫蘆). 중국의 길거리 간식으로 작은 과일 등을 꼬치에 꿴 뒤 설탕시럽이나 물엿을 입혀 만든다. 베이징에서는 얼음처럼 딱딱하게 굳었다고 해서 빙탕후루라고 한다. 중국 송나라 때부터 전해졌다고 하는데 송나라 황제 광종의 후궁 황귀비가 몸이 허약해 어떤 처방도 소용없었는데 한 의원이 산사나무열매를 설탕과 달여 식전에 먹으라는 처방을 내린 후 병이 나았다고 한다. (산사열매는 맛이 매우 신데 한방에서 소화를 돕고 복통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후 이것이 탕후루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과거에는 설탕이 귀해서 약으로 쓰이거나 비싸서 흔하게 먹지 못하다가 명나라때가 되어서야 널리 퍼져 우리가 익히 아는 길거리 간식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오리지널 중국의 탕후루는 산사나무열매로 만든..
-
최근 MZ세대들에게 핫하다는 전통과자 약과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8. 9. 00:10
약과. 한국의 전통 과자. 유밀과(油蜜菓, 반죽에 꿀을 섞거나 바른 후 기름에 튀겨낸 한과)의 일종이다. 고운 채로 거른 밀가루나 찹쌀가루에 참기름과 꿀, 술을 넣고 반죽하여 약과판에 찍어 무늬를 새긴 후 기름에 튀겨 만든다. 과거 꿀이 약으로도 쓰였기 때문에 '약과'라는 이름이 붙었다. 쫀득하고 달콤해서 예전부터 인기가 좋았다. 고려사에는 충렬왕 때 원나라에 가서 베푼 연회에 유밀과를 선보였더니 평판이 대단해 몽고에서 유밀과를 '고려병'이라고 불렀다는 내용이 있으며 약과를 최상의 공물로 여겼다고 전해진다. 또한 찹쌀, 밀, 기름, 꿀 등 당시 기준으로 고급 재료들이 들어가다보니 나라 사정이 여의치 않거나 흉년이 들었을 때는 약과 만드는 것이 법으로 금지된 적도 여러 번 있었다. 약과 금지법이 시행되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