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세
-
빵을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튀르키예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8. 25. 00:10
우리나라 사람들이 밥을 중요하게 생각하듯, 튀르키예인들은 빵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식사를 마치고 빵을 남기는 것을 금기시하며 빵이 남으면 이웃이나 동물들에게 준다. 무언가에 대해 맹세를 할 때 '빵'을 걸고 맹세하는 경우도 많다.(더 중요한 맹세는 쿠란에 걸고 한다고) 튀르키예는 밀의 원산지 중 하나이다. 밀의 원산지는 트랜스 코카서스와 튀르키예, 그리고 그 주변 국가라고 한다. 3천 년 전 중국 신장지구 미라가 발견되었을 때 부장품 속에 튀르키예 밀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도 튀르키예는 세계 최대의 밀 생산지 중에 하나이다. 튀르키예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불가르 밀을 생산하는데 전 세계 불가르 밀의 80%가 튀르키예에서 생산된다. 이 불가르 밀은 튀르키예 내에서 소비 후 인근 중동지역이나..
-
국기에 대한 맹세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15. 18:33
국기에 대한 맹세는 대한민국국가법 시행령 4조에 명시되어 있다. 시작은 1968년 충남교육청 장학계장 유종선이 작성한 "나는 자랑스런 태극기 앞에 조국의 통일과 번영을 위하여 정의와 진실로서 충성을 다할 것을 다짐합니다." 라는 문장을 충남지역 학교에 배포하여 국기에 대한 맹세를 하도록 장려한 것이다. 이후 1972년 문교부가 문구를 약간 수정하여 "나는 자랑스런 태극기 앞에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라는 문장을 전국 각 학교에 배포하면서 국기에 대한 맹세를 시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이후 '자랑스런'이 문법에 맞지 않고,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한다'는 말은 개인의 맹목적인 희생과 충성을 강요하는 전체주의를 연상시키며, '조국과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