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린탄
-
북한 초소에 백린탄을 날려 전쟁날 뻔 했던 사단장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25. 22:59
이 사건은 1973년 '3.7 완전작전' 이라고 명명되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한국군이 북한의 도발을 성공적으로 격퇴한 대표적인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음. 근데 왜 박정인 사단장이 잘렸냐 하면 북한군의 포격으로 우리 부대원들이 위험에 처하자 해당 상황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독단으로 관측기를 띄워서 북측 GP 위치를 파악한 후 인민군 559GP에 포격을 가하고 이어 북한군 보병들 배치지역까지 포격을 실시함. 이후 상부 군단에서 이를 알고 '환자 구출을 위하여 무리하게 사격하지 말라' 고 명렿아였으나 상부의 명령을 무시하고 계속 포격을 계속함.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그날 밤 사단 내 모든 트럭에 라이트를 켜고 DMZ 남방한계선까지 돌진하도록 지시를 했는데, 일부 차량은 군사분계선까지 밀고 나가는..
-
백린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13. 16:34
백린(白燐, white phosphorus, WP)탄. 소이탄의 재료를 백린으로 사용한 것을 일컫는 용어로 최초의 백린탄은 2차대전때 영국군이 독일의 대전차전 및 토치카 무력화 용도로 개발되었는데, 이후 필리핀 작전과 일본 본토의 도쿄대공습, 6.25전쟁과 베트남전쟁까지 '요긴하게' 잘 사용되었다. 기폭하면 폭약 자체의 위력 외에 내장재의 화학반응을 이용해서 강력한 연소를 일으키는게 특징인데, 주로 인명살상용과 연막탄 용도로 사용된다. 백린탄 사용이 국제적으로 강력하게 비난을 받는 이유는 그 성능의 극악함 때문이다. 일단 백린탄이 한번 터지면 소화를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람 살에 엉겨붙어 불타는데 물을 부어도 오히려 화상 입는 부위만 늘어날 뿐 꺼지지 않으며, 심지어 물속에 담궈도 불씨가 꺼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