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
북한의 스마트폰 아리랑171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0. 26. 00:10
아리랑 171. 2018년에 북한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북한에서는 스마트폰을 '지능형손전화기'라고 표현한다. 아리랑정보기술교류사에서 개발했다. 북한에서 개발한 다섯 번째 스마트폰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OS 7.1.1 누가를 탑재하고 있으며 CPU는 대만 미디어텍의 MT6797(헬리오 X20)을 탑재했으며, RAM은 4G, ROM은 32G이다. 후면 카메라(뒤사진기)는 1300만 화소 전면카메라(앞사진기)는 800만 화소이다. 나노심을 채택하고 있으며 5.5인치 1920x1080, 4K 동영상이 촬영가능하다고 한다. 색상은 금색, 레드, 검정으로 출시됐다. 기본 성능은 갤럭시 S6 정도라고 한다. 2023년 기준으로 북한의 최신 스마트폰은 '삼태성8'이다. 북한의 조선중앙 TV에서 만든 이동 중..
-
EU 스마트폰 배터리 탈착식 의무화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4. 08:45
2023년 6월 23일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EU 내 판매하는 스마트폰 배터리는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돼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2020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처음 제안한 내용으로 만약 유럽이사회 승인을 받게 될 경우 2028년부터 유럽에 판매하는 휴대폰들은 이 법을 적용받게 된다. 이는 최근 EU의 친환경 정책의 연장인데, 이미 '모든 전자기기 충전단자를 표준 USB-C로 통일해야 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켜 애플이 아이폰 15부터는 자신의 라이트닝 케이블을 버리고 충전기를 USB-C타입으로 변경한 바 있다. 탈착식 배터리 의무화와 관련하여 기존의 방수방진 기능과 얇은 두께를 포기해야 할 수 있다는 우려와, 배터리를 원할 때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고 스마트폰..
-
피라미드-클레오파트라-스마트폰 상관관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 28. 17:18
라미드 완공 ~ 클레오파트라 7세 사이의 기간보다 클레오파트라 7세 ~ 스마트폰 출범 사이의 기간이 더 짧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일까? 우리가 알고 있는 피라미드 중 가장 유명한 쿠푸왕의 대피라미드가 만들어진 것이 기원전 26세기경이다. 또한 고대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였던 클레오파트라 7세의 재위기간은 BC51년부터 30년이다. 최초의 스마트폰은 IBM의 사이먼으로 1992 컴댁스에서 컨셉 제품이 전시되었고 1993년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그리고 스티브 잡스가 그 유명한 아이폰 프레젠테이션을 한 게 2007년이다.
-
일본 젊은이들이 키보드 자판보다 스마트폰 입력을 더 잘 하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14. 17:14
일본 PC의 키보드는 의외로 일본어 입력이 쉽지 않음. 키보드에 히라가나를 전부 넣기에 부족해서 숫자키까지 히라가나가 할당되어 있고, 히라가나 ↔ 카타카나 변환을 또 해야 함. 뿐만 아니라 한자 입력시에도 불편함. 그래서 알파벳으로 입력 후 변환하는 방법도 많이 씀. 그리고 일본에서는 스마트폰에 익숙해진 젊은 세대들이 컴퓨터 자판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경우도 많음. 실제 조사결과 일본의 20대 10명 가운데 9명, 10대는 8명 가량이 PC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한다는 설문 결과도 있음. 또한 스마트폰을 통한 일본어 입력이 키보드보다 훨씬 편하고 빠름. 실제 똑같은 문장을 치게 했더니 PC 키보드를 통한 입력보다 스마트폰을 통한 입력이 더 빨랐다고 함. 그래서 20대 신입사원들 중에는 아예..
-
잘린 손가락도 스마트폰 지문인식이 가능할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0. 7. 00:19
스마트폰에 지문인식이 처음 적용된 것은 2011년 모토로라가 '아트릭스'를 내놓은 것이 최초이다. 이후 2013년 애플이, 2014년 삼성이 지문인식이 적용된 모델을 내놓으면서 지문인식은 스마트폰의 보편화된 인증방법이 되었다. 스마트폰의 지문인식 방법은 피부 표피 내부인 피하층이 전도성인 점을 활용한 전기장 반응 방식(정전식)인데 초창기에는 스와이프 방식이 쓰이다 최근에는 에어리어 방식이 많이 쓰인다. 시체의 손가락은 전기가 통하지 않아 반응하지 않는다. 실제 2018년 미국에서 죽은 범죄자 아이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 해 경찰관들이 그 사람의 장례식에 찾아가 시체의 지문으로 해제를 시도했다 실패한 적이 있었다. 다만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실리콘을 이용해 복제한 실리콘 지문을 통해 지문인식이 뚫릴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