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어보
-
살인 '새우'가 사람을 죽였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3. 00:20
상어는 한자권에서는 사어(沙魚)라고 쓴다. 피부에 미세한 돌기 같이 생긴 것이 있어서 껍질이 모래처럼 거칠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실제 상어 껍질을 말려서 사포로 쓰기도 했다. 그밖에 장식용이나 말안장, 칼집 등으로도 사용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사어, 즉 상어가 45개 고을의 토산품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지금도 해남이나 강진 일부 바닷가 마을은 잔칫상에 상어고기가 꼭 올라간다.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에는 15종의 상어가 분류되어 있는데 이중 극치사(戟齒鯊, 속명 새우상어, 세우사世雨鯊)가 오늘날 일컫는 백상아리가 아닌가 유추하고 있다. 창 같은 이빨을 가졌다는 뜻의 극치사란 이름이 붙었으며 한치윤의 해동역사에도 '5월 이후 큰 물고기가 있어 사람을 해치므로 바닷속에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는 기록이..
-
혹돔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 29. 22:46
혹돔. 이름은 도미지만 도미과가 아니고 농어목 놀래기과이다. 1미터 전후까지 크는 중대형 어종이며 밤에는 굴 속에 들어가서 휴식을 한다. 두상에 커다란 혹이 나와 있어 혹돔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참돔, 돌돔, 강성돔 같은 도미과에 비해 맛은 떨어지는 편이라고 하지만 제주도에선 상당히 귀하고 좋은 생선으로 취급된다. 회보다는 국물을 내거나 튀김류로 해 먹으면 좋다고 한다. 지역에 따라 유어, 웽이, 엥이, 딱도미, 솔라리 등 다양한 이름을 불린다. 이마의 혹은 주로 수컷에게 크게 나온다고 하는데 무리 중 1위 수컷의 혹이 가장 크고 수컷만이 암컷들을 독차지한다고 한다. 혹 안에는 지방이 들어 있는데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에 이 혹을 삶아 기름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수명이 꽤 길다고 하던데 일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