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
세계 7대 불가사의의 진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8. 15. 00:10
세계 7대 불가사의(Seven Wonders of the World)는 기원전 2세기 그리스 시인 안티파트로스가 당시에 놀랄 만한 건축물들을 언급한 것이 유래이다. 고대 그리스인의 관점에서 생각한 불가사의다 보니 대부분 지중해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사실 '불가사의' 라는 단어는 번역의 오류에서 기인했다. '세계 7대 불가사의'의 원문(영어)은 'Seven Wonders of the World'인데, 원 뜻 그대로 보면 '세계의 7가지 경이로운 것(건축물)들'이라고 해석하는 게 더 타당하다. 근데 'Wonder'를 '불가사의'로 번역해 버리는 바람에 원뜻과 아주 바뀌어버린 것이다. 서양의 자료를 일본에서 이걸 "世界の七不思議"라고 번역을 한 것인데, 이거 자체로는 '세계의 7가지 신기'라서 ..
-
제주도에 목장이 많은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4. 1. 00:10
제주도의 말은 청동기시대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본격적인 사육은 고려시대 때부터 시작되었다. 기록상으로는 삼별초의 난 이후 제주도를 속국으로 삼은 원나라가 탐라총관부를 세우고 이듬해인 1276년(충렬왕 2년)에 제주도 수산평에 몽골식 목장을 설립하면서 몽고말 160마리를 들여오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목장 운영이 이루어졌다. 원나라 입장에선 일본과 남송을 호시탐탐 노릴 수 있는 바닷길의 요충지인 데다 전략 물자인 군마 생산에 천혜의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섬이라 방목하기 좋았고 목초가 풍부하며 말을 해칠 맹수도 없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말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게 되자, 제주도에는 대규모의 국영, 혹은 사영 목장들이 건설되었다. 거의 섬 전체가 목장화되었으며 주요 말 공급지로 이..
-
제주도가 철거해버린 역사적 건축물 '카사 델 아구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 19. 20:54
카사 델 아구아. 멕시코 출신의 세계적 건축가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으로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안에 있었다. 카사 델 아구아는 스페인어로 '물의 집'이라는 뜻이다. 2009년 제주 ICC 앵커호텔 모델하우스로 지어졌고 이후 갤러리로 운영되어 왔는데, 제주도에서 가설건축물로 존치 기한이 만료된 불법건축물이라며 2013년 철거해 버렸다. 카사 델 아구아는 전 세계에 60여 개의 예술적 건축물을 설계해 전미건축가협회 금메달, 국제건축가연맹상 등을 받은 세계적인 건축가로 건축계의 노벨상이라는 프리츠커상 심사위원을 10년 넘게 맡아 왔다. 이 건물은 그의 유작으로 아시아에서 레고레타의 건축물 중 유일하게 내부까지 공개된 작품이라 건축계에서 높은 가치를 평가받아오고 있었으며 국내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 ..
-
제주도 콘테이너 모양의 카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1. 3. 19:57
제주도 사람들이 귤을 세는 단위는 봉지나 박스 단위가 아니고 콘테나 단위로 셈. 콘테나는 컨테이너를 뜻하는데 농산물이나 과일을 담는 플라스틱 상자를 뜻한다. (마침 색깔도 오렌지색이다) 제주도 조천읍 함덕 쪽에 가면 이 컨테이너 박스를 모티브로 만든 카페가 있는데 카페 이름도 '카페 더 콘테나'이다. 귤 컨테이너 같이 생긴 특이한 건물 외관에 카페 옆에 귤밭도 있고 실외 자리는 컨테이너를 뒤집어서 앉을 수 있게 되어 있어 인스타 사진용으로 각광받는 핫한 카페이다. 주차가 매우 힘들어서 사람 많이 모이는 시간대에는 차를 멀리다 대고 와야 한다.
-
제주도 야생화된 들개 문제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5. 17:11
2021년 제주도가 발표한 '중산간지역 야생화된 들개 서식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용역' 에 따르면 도내 중산간지역(해발 300~600m)에서 서식하는 들개는 최소 1,626마리~최대 2,168마리로 예측됨. 최근 중산간지역에 무리지어 배회하는 들개에 의한 인명사고 및 가축피해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 들개들은 유기 또는 유실로 사람의 손에서 벗어나 야생화된 후 야생에서 장기간 여러 세대에 걸쳐 낳고 자란 것으로 추정됨. 제주도에서는 들개로 인해 2020년 닭 175마리, 오리 15마리, 한우 4마리, 송아지 5마리의 피해를 입었고 2021년에는 닭 806마리, 오리 44마리, 한우 1마리가 폐사되었음. 또한 들개들이 상대적으로 공격에 취약한 암컷 또는 새끼 노루를 공격하는 경우도 늘면서 노루 개체 수 감소..
-
홈쇼핑에 나온 제주산 돼지고기가 제주도로 배송이 안되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17. 11:23
제주도는 2002년부터 타 시도산 돼지고기 반입 금지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돼지열병 등 전염병 유입 방지가 목적이다. 이때문에 제주도민들과 관광객들은 제주도 내에서 수입산과 제주산 외 다른 국내 돼지고기를 먹을 수 없었다. 이때문에 제주도민이 제주도산 돼지고기보다 약 50%가량 저렴한 다른 지역 돼지고기를 먹지 못한다는 것은 역차별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기도 했다. 지난 2021년 일부 양돈농가들의 돼지분뇨 사건을 계기로 양돈산업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국내 일부 지역의 돼지를 들여오려고 시도하였으나 지역 양돈업계에서 반발하였으나 그 시점에 고성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여 백지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