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조림
-
통조림의 역사와 건강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2. 13. 00:10
통조림의 기원은 전쟁군수물자였다. 1804년 나폴레옹이 전쟁으로 식량 사정이 악화되자 프랑스 산업장려협회를 통해 식품을 장기 보존할 수 있는 용기를 공모했고, 과자 제조기술자였던 니콜라 아페르에 의해 유리병에 고기와 야채를 넣고 병째 가열한 후 코르크 마개를 밀봉해서 보관 기간을 높인 병조림이 개발되었다. 이후 1810년 영국의 피터 듀란드가 깨지기 쉬운 병조림의 유리병 대신 튼튼한 주석깡통으로 음식을 밀봉하는 통조림을 만든 것이 최초의 통조림의 기원이다. 통조림에 든 음식을 먹으면 건강을 해친다는 주장은 예전부터 있어 왔다. 멸균을 위해 가열하는 조리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양소가 파괴되고, 통조림 내부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스페놀 A 수지를 코팅하는데 이것이 발암물질이며, 통조림을 밀봉해 가..
-
빵통조림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5. 18. 00:10
빵통조림. 빵을 통조림처럼 보존 처리한 음식이다. 1920년대부터 제작되었다고 하며, 2차 대전 시기에 군인들에게 보급되는 전투식량으로도 사용되었다. 당시 미국의 전투식량 C레이션은 고기요리가 들어간 M유닛과 빵요리가 들어있는 B유닛이 있었는데, 실제로는 이름만 빵이지 딱딱한 크래커가 들어있었다고 한다. 2차 대전 이후 전장에서도 좀 더 빵다운 빵을 병사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계속되었고, 고압으로 압축한 빵이나 수분이 적게 가공한 드라이 케이크를 비활성 기체를 채운 깡통에 채워 넣고 밀봉한 빵통조림이 개발되었다. 덕분에 베트남전에서는 진짜 흰 빵, 파운드케이크, 후르츠 케이크, 시나몬 롤 같은 부드러운 식감의 빵이 들어가게 되었다. 빵통조림은 재난시 구호식품으로도 활약했다. 1995년 고베 ..
-
통조림의 역사와 기원, 그리고 건강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7. 00:10
통조림의 기원은 전쟁군수물자였다. 1804년 나폴레옹이 전쟁으로 식량 사정이 악화되자 프랑스 산업장려협회를 통해 식품을 장기 보존할 수 있는 용기를 공모했고, 과자 제조기술자였던 니콜라 아페르에 의해 유리병에 고기와 야채를 넣고 병째 가열한 후 코르크 마개를 밀봉해서 보관 기간을 높인 병조림이 개발되었다. 이후 1810년 영국의 피터 듀란드가 깨지기 쉬운 병조림의 유리병 대신 튼튼한 주석깡통으로 음식을 밀봉하는 통조림을 만든 것이 최초의 통조림의 기원이다. 통조림에 든 음식을 먹으면 건강을 해친다는 주장은 예전부터 있어 왔다. 멸균을 위해 가열하는 조리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양소가 파괴되고, 통조림 내부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스페놀 A 수지를 코팅하는데 이것이 발암물질이며, 통조림을 밀봉해 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