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
한자를 알면 한글을 구사할 때 도움이 되는가?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5. 10. 01:20
한글은 기본적으로 표음문자이지만 한국어는 그 영향을 많이 받은 중국어 - 정확하게 얘기하면 한자어 때문에 한 개의 음절이 하나 이상의 뜻을 가지는 성향도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단어의 70% 이상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며, 한자어를 한글로만 적어 놓았을 때 그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문맥으로 판단해야 하거나 배경지식으로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는 역으로 한글의 장점이기도 한데 우리말은 한자어들과 사자성어등을 이용해서 표현이나 의미 등의 복잡한 내용을 전달함에 있어서 언어의 밀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일례로 한자 '學(학)' 자는 물론 외우기 쉽지 않다. 하지만 이 한 글자를 머릿속에 넣어 놓게 되면 學生(학생), 學校(학교), 學院(학원), 학부모), 學用品..
-
일본인은 "the"를 "쟈" 라고 발음한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2. 22. 00:20
일반적으로 한국어나 영어는 보통 음절의 구조가 개음절 구조와 폐음절 구조로 나뉜다. 개음절 구조는 음절의 끝이 모음이 되는 구조, 폐음절 구조는 음절의 끝이 자음이 되는 것들이다. 그런데 일본어는 폐음절 구조가 없다. 그래서 모든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게 된다. 그래서 '맥도널드'를 발음하려면 '마크도나르도' 같이 모든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그래서 영어 원문 발음과는 상당히 상이한 발음이 나오게 된다. 그밖에 일본어는 'spring' 같은 단어의 끝에 ~ng 발음을 독특하게 '~링구'라고 발음하거나 'team'이란 단어를 발음할 때 't'발음을 '치', 끝의 'm'발음은 '무'로 발음해 서 '치-무' 가 되는 식이다. 또한 일본어의 경우 모음 음소 5개, 반모음 2개, 특수 음소 2개, 자음 음소..
-
미국인이 배우기 가장 어려운 언어 중 하나인 한국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7. 16:26
미국의 공무원이나 외교관 등에게 외국어를 교육하는 정부기관인 FSI(The Foreign Service Institute)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미국인 입장에서 약 70개 외국어들의 공부 난이도를 분류함. 23~24주 정도가 걸리는 레벨 1은 영어와 비슷한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가 분류되었으며, 그 위로 레벨 2(30주), 레벨 3(36주), 레벨 4(44주) 등이 있으며 가장 어려운 레벨 5는 레벨 4의 2배인 88주(2200시간)가 걸린다고 분석했는데 여기에는 아랍어, 중국어, 광둥어, 한국어, 일본어가 속해 있음. 미국인이 배우기 가장 어려운 언어로는 일본어가 뽑히기도 했고 하버드 한국학 박사는 '만약 6단계를 신설한다면 한국어가 거기 있을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