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킨슨병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조이 밀른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2. 13. 00:20300x250
스코틀랜드 퍼스시에 사는 조이 밀른의 남편은 파킨슨병으로 사망했다. 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되면서 움직임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19세기말 이 병을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한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의 이름을 따서 파킨슨병이라고 부른다. 1천 명당 1명꼴로 발병되며 한국인에게는 파킨슨병 발병 유전자가 있어서 다른 인종보다 발병이 더 잦다. 60살 이상 한국인의 유병률은 10만 명당 165.9명에 달한다. 또한 파킨슨병은 미리 진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병으로 알려져 있다.
조이 밀론은 전직 의사였던 남편이 파킨슨병을 진단받기 6년 전부터 남편의 몸에서 나는 묘한 냄새를 맡았다. 향수에 많이 쓰이는 머스크향이었다. 조이 밀른 외 다른 사람들은 아무도 맡지 못했고 그녀는 스스로가 좀 냄새에 민감해서 그런 거라고 생각했다. 이후 남편이 파킨슨병을 진단받고 병원에 입원하자 그녀는 병원에 있는 다른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도 남편과 동일한 냄새가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녀는 스코틀랜드에 있는 파킨슨병 전문 연구자들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파킨슨병 연구자들은 조이 밀론의 이야기를 헛소리나 이상한 이야기로 치부하지 않았다. 에든버러대학의 틸로 쿠나스 박사는 2012년 조이 밀른의 후각을 테스트했는데 그녀는 입고 있던 사람의 티셔츠만으로도 파킨슨병 환자인지 아닌지를 맞췄다. 그녀는 12명 중 11명의 파킨슨병 여부를 알아맞혔는데, 그녀가 틀린 1명 역시 실험 후 8개월 뒤 파킨슨병을 진단받았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파킨슨병은 엑스레이, CT, MRI 같은 검사로 미리 발견해 낼 수 없는 병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그녀의 사례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다가 2022년 중국의 저장대와 톈진중의약대 등 공동 연구팀에서 그녀의 사례를 연구한 후 파킨슨병을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후각 시스템을 개발했다. 밀른이 맡은 냄새는 환자들의 피지로부터 나오는 냄새였는데, 파킨슨병 환자들의 몸에서는 효모, 효소와 호르몬이 더 많이 발생한다. 피지도 보통 사람보다 더 많이 분비된다고 한다. 연구팀은 파킨슨병 환자와 건강한 사람들의 몸에서 피지를 채취한 뒤 인공지능 후각 시스템으로 분석하여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 건강한 사람과 달리 세 가지 냄새 화합물(옥탄올, 페릴알데하이드, 헥실아세테이트)이 분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현재 이 인공지능 후각 시스템은 70%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현재도 조이 밀른은 과학자들과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녀는 파킨슨 병 외에 후각으로 암이나 결핵 같은 다른 병을 구분할 수 있는지 여부를 밝혀내기 위해 전 세계 과학자들과 협력 중이다. 현대 의학사에서 그녀는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는 실존하는 슈퍼히어로일지도 모른다.300x250'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 가운 증후군 (0) 2023.12.14 인간의 병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동물들 (0) 2023.12.14 일본 오사카 토미오카 고교 댄스부(TDC) (0) 2023.12.13 과거 역적의 삼족, 혹은 구족을 멸했던 이유 (1) 2023.12.12 앵커가 부적절한 손가락을 들었다가 화들짝 놀랐던 BBC 방송사고 (0) 202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