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민족과 3이라는 숫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0. 7. 00:00300x250
사실 3이라는 숫자는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길하게 생각한 숫자였음. 옛날부터 3이란 숫자를 신성시해서 설화에 3이라는 숫자가 많이 나옴. 단군설화에서 환인이 아들 환웅을 인간세계에 보낼 때 신의 힘을 낼 수 있는 신성한 물건인 천부인 3개를 줘서 내려보냈고. 환웅이 나라를 정할 때 무리가 3천명이고 부하로 풍백, 우사, 운사를 둠. 고구려의 상징물인 삼족오는 다리가 3개 달린 까마귀임. 제주도의 세 씨족인 고씨, 양씨, 부씨의 시조가 솟아났다는 구멍도 3성혈임. 그밖에 3은 민속놀이에도 많이 쓰임. 놀이를 할 때 삼세판부터 시작해서 고스톱도 3점이 나면 끝나고 쓰리고도 3이고 초단, 청단, 홍단도 3장씩 모아야 함. 삼칠일, 삼월삼짇날, 삼년상, 삼일장, 삼우제 등등 풍습에서도 3을 많이 찾을 수 있음. 조선시대 정승도 3명이었음. 그러다보니 일상생활에서도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3년 가뭄엔 살아도 석달 장마엔 못산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 3년 간병에 불효난다. 중매 잘하면 술이 석 잔, 못하면 뺨이 석 대 등등의 속담에서도 3이 유독 많이 쓰임. 이름도 3글자가 대다수임. 3을 신성시하는 이유는 1과 2가 합친 완전성 때문이라고 함.
300x250'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색 구두 이야기를 듣고 기지를 발휘한 112 콜센터 (0) 2022.10.07 미쯔비시 그룹과 미쓰이 그룹명의 유래 (0) 2022.10.07 롯데 그룹명의 유래 (1) 2022.10.06 샤오미 그룹명의 유래 (0) 2022.10.06 육개장 모델이 되어버린 트와이스 (0) 202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