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
동물원에서 비버가 지은 집을 허무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9. 23:28
비버. 북아메리카와 유럽, 중동 일부 지역에 사는 수생형 포유류. 나무로 댐을 지어 물길을 막아 수위를 높이고, 물 한가운데에 집을 짓는 습성이 있다. 평생동안 자라는 이빨은 철 성분이 있어서 주황색이 나며 지름 30cm 나무를 10분만에 갉아 쓰러뜨릴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잘라낸 나무로 댐을 건설하고 집을 짓는데 강폭이 넓을 경우 대를 이어서 건축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동물원에 있는 비버들이 집을 짓고 나면 사육사가 무너뜨리는데 비버에게 소일거리를 주는 것과 동시에 동물원같이 좁은 곳에서는 비버가 집을 짓고 나면 그 이후부터는 일을 안해서 살만 찌고 잔병치레를 많이 하기 때문에 일부러 부숴서 다시 짓게 하는 거라고 한다. 전 세계의 대부분의 동물원에서 다 이렇게 한다고. 여담으로 기껏 지은 집 ..
-
돼지는 진짜 지저분한 동물일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9. 23:27
돼지는 의외로 깨끗한 동물 중 하나이고 불결한 곳을 좋아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 다만 땀샘이 거의 없어서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진흙탕을 뒹굴어서 체온을 식히는 모습을 보고 사람들이 지저분하다고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또한 양돈장에서 대량으로 돼지를 키울 때 불결한 위생상태에서 돼지가 길러지는 것을 보고도 돼지가 더럽다고 생각하는데 양돈을 하는 농가의 돼지우리 주변이 습기가 차고 냄새가 나는 이유는 돼지가 땀샘이 발달하지 못해서 체내의 모든 수분을 소변으로 배설하기 때문이다. 만일 넓은 장소가 제공되고 배설장소를 따로 마련해 주면 돼지는 배설물이 있는 곳의 냄새를 인식해서 그곳에서만 배설하고 누울 곳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한다고 한다.
-
산호섬을 만드는 파랑비늘돔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9. 23:24
파랑비늘돔(Parrotfish) 열대와 아열대지역의 해역에서 서식하며 90여종의 아종이 있음. 앵무새 같은 부리 때문에 영어 이름이 Parrot이 되었고 앵무고기라고도 불리는데 이 부리를 이용해서 산호 및 기타 암석에서 조류를 갉아먹음. 부리가 계속 자라기 때문에 계속 갈아주어야 한다고. 특이하게 파랑비늘돔은 잠을 때 점액을 몸밖으로 내뿜어 고치를 만들어 숨어서 자는 특성이 있으며 (이 점액에는 냄새를 포식자에게서 숨기고, 피부의 상처를 치료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와 기생충 퇴치에 효과가 있다고 함. 태어날 때는 자웅동체로 태어나는데 어렸을 때는 암컷이었다가 나이가 들면 수컷이 된다고 함. 보통 한 마리 수컷이 5~6마리 암컷을 거느리는데 만일 수컷이 죽거나 하면 암컷 우두머리가 자신이 수컷이 된다고 함...
-
100m를 13초대에 뛴 70세 할아버지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9. 23:23
2022년 5월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Penn Relays' 100m 부문에 출전한 70세의 마이클 키시가 13초 47이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함. 연령대 100m 경주에 출전한 마이클 키시는 검정색 선글래스를 끼고 1952년생이라는 것을 아무도 믿지 못할 만큼 역동적으로 트랙을 달림. 그의 영상이 sns에 올라오자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그에게 환호를 보냈음. 참고로 70세 이상 100m 달리기 기록은 2005년 시니어 올림픽에서 미국인인 바비 윌든이 세운 12초 77임.
-
G1 대회에서 최초로 우승한 백마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9. 23:22
소다시. 암컷, 2018년생. 일본 경주마. 2020년 12월 13일 G1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에서 우승하며 완전한 백마 중에 G1 사상 최초로 우승하였다. 데뷔 4전만에 '일본 경마 사상 최강의 백마' 타이틀을 따버린 것. 여담으로 데뷔전에서 우승한 최초의 백마 타이틀도 가지고 있다. 캐릭터 인형은 한번 나왔다 하면 원가의 10배 프리미엄이 붙어서 중고거래가 이뤄지고 출주한다는 사실만으로 마권 매출이 훅~ 하고 올라갈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완전 백마는 경주마 중에도 흔치 않은데 (2021년 기준 일본 경주마 중 완전 백말은 단 7마리뿐) 2021년 8월 실시된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투표에서 18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좋았는데 아무래도 외모 덕분인 듯. 2021년 이후로는 체력 문제 등으..
-
우라까이와 보도자료, 기자윤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9. 22:42
기사 용어로 '우라까이'라는 말이 있음. 일본어 '우라가에스(裏反す)'가 변형된 말로 '뒤집다, 변경하다' 라는 뜻임. 옛날에는 신문들이 아침에 신문 나오기 전날 저녁에 '가판' 이라는걸 발행했었음. 사실 오지에 다음날 아침 새벽 신문을 먼저 배달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지만 일종의 베타테스트판 같은 성격도 컸음. 각 신문사들이 가판을 발행하면 신문사들은 다른 신문사들의 가판을 좍~ 모아서 놓친 기사 있는지 챙겨서 넣고 기사 수위 조절하고 그랬음. 이 가판들은 대기업이나 정부부처에도 들어갔기 때문에 이들도 다음날 아침에 나갈 기사를 미리 확인하고 권력으로 찍어누르거나 광고 등을 이용해 로비를 하는 등 보도를 차단하거나 수위를 낮추곤 했음. 어떨 때는 언론에서 기사를 이용해서 광고 거래를 하는 용도로도 쓰였고..
-
슬리데린은 진짜 나쁜 애들만 있을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8. 16:42
슬리데린은 창립자인 살라자르 슬리데린이 순혈만 키우자고 했고 순혈 비중이 높긴 하지만 그렇다고 순혈만 들어가는 것은 아님. 당장 볼드모트와 스네이프도 순혈이 아니었음. 슬리데린은 야망이 높고 명예를 중시하며 경쟁심이 강하며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이 선택됨. 물론 어둠의 마법사를 많이 배출하긴 했지만 스네이프, 말포이, 레귤러스 블랙 등 어둠에 맞서 싸운 마법사들도 있었음. (역으로 그리핀도르 출신인 피터 페티그루도 어둠의 마법사였고 슬리데린 다음으로 어둠의 마법사를 많이 배출한 기숙사가 그리핀도르였음) 일단 내 생각에는 슬리데린은 기숙사 위치를 바꿔야 함. 소설에 보면 슬리데린 기숙사는 지하감옥 숨겨진 입구 뒤에 있으며 굉장이 어둡고 창밖에는 호그와트 호수의 심연이 보인다고 묘사되어 있는..
-
한국의 중화요리의 원류는 산둥요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8. 16:41
한국의 중화요리의 원류는 북중국식, 특히 산둥요리라고 함. 그 이유는 초기에 정착한 화교들 다수가 산둥성 출신이기 때문. 산동 요리는 간장을 많이 쓰는 편이라 맛이 농후하고 파와 마늘을 많이 쓰며 탕 요리와 동물 내장 조리법이 풍부하고 해안을 끼고 있어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다고 함. 한반도와 산동성이 지리적으로 가깝다보니 식문화에 공통점이 많았고 사람들의 이동도 쉬웠기 때문에 화교들이 많이 넘어오면서 한국식 중화요리의 기틀을 마련함. 참고로 현재 한국식 중화요리는 고향인 산동보다 과거의 산동 요리의 특색을 더 잘 보존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이민자들이 있는 지역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임. 초기에 이들 '청요리'는 흔히 먹을 수 없는 고급 요리라는 인식이 강했다고 하며, 화교탄압정책으로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