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
우주비행사와 수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2. 3. 00:10
무중력 상태인 우주선 안은 위(천장)와 아래(바닥)가 구별되지 않는다. 그래서 우주인은 주로 서서 잔다. 당연히 지구에서 사용하는 매트리스나 베개는 필요가 없는 대신 잘 때 팔이 공중으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팔짱을 끼거나 침낭 안에 팔을 넣어 차력 자세로 잠을 잔다. 자는 도중 이곳저곳을 부유하면서 물건이 부딪히거나 기계를 건드려 큰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잘 때 벽에 달린 끈으로 몸을 묶거나 벽에 고정된 침낭 안에 들어가서 잔다. 수면 시간은 하루 6시간 정도지만, 내부의 소음이 커서 귀마개를 낀 채로 잠을 청한다. 소리를 흡수하는 흡음재는 대부분 불에 잘 타는 소재여서 우주선에서는 안전상의 이유로 흡음재를 설치하기 않기 때문이다. 또한 우주선 안은 생명유지장치나 과학실험장치 등에서 발생..
-
우주에서의 성생활과 생식활동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1. 30. 00:10
우주에서의 성생활은 NASA의 매우 중요한 관심사 - 하지만 결코 드러낼 수 없는 - 중 하나이다. 특히 일론 머스크가 공공연하게 화성 이주 계획을 떠벌이고, NASA의 아르테미스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장기간 동안 우주에서 생활하는 것이 현실이 된 현재에는 더욱더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인간이 우주에서 어떻게 애를 낳고 키우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하지만 동물들의 생식활동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1979년 소련의 생화학 위성인 코스모스 1129호에서 18일간 설치류들의 교미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지구로 돌아왔을 때에는 몇 마리는 분명히 임신 상태였는데 실제로 새끼를 낳지는 못했다. NASA는 임신한 시궁쥐를 우주에 보냈었는데 이후 지구에 돌아와서 태어난 새끼쥐는 무중..
-
히든 피겨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3. 31. 23:16
히든 피겨스. 1962년 머큐리 계획이 진행되던 때 NASA에 있던 천재 흑인 여성 수학자들의 이야기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다.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도 올랐다. 1962년은 인간이 달로 가는 것보다 흑인과 백인 학생이 한 교실에 있는 게 더 이상할 만큼 인종차별이 만연해 있던 시절이었다. 이런 때에 NASA 최초의 흑인 여성 엔지니어가 되었던 캐서린 존스, 도로시 본, 메리 잭슨의 실화를 다룬 영화이다. 캐서린 존슨은 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우주비행선 역학의 계산에서 미국 최초 및 이후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폴로 달 착륙선과 왕복선의 경로를 포함한 머큐리 프로젝트 우주비행 궤적 계산 등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및 화성 탐사 프로젝트에도 참여하였다. 2015년 자유훈장을 받고,..
-
출산 당일까지 일했던 NASA의 여성 엔지니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2. 18. 14:51
주디스 러브 코헨은 미국 항공우주국 엔지니어로 아폴로 13호에서 우주인들을 안전하게 집으로 보내기 위한 AGS (Abort Cuidance System, 달 착륙선의 기본 유도 시스템이 고장 난 경우 강제중단 기능을 제공하는 백업 컴퓨터 시스템)의 개발을 맡고 있었다. 그녀는 아이 출산 당일에도 일을 하였으며, 업무 관련 서류를 병원에까지 들고 들어갔고, 문제를 해결한 후 상사에게 전화를 걸어 문제를 해결했다고 전화를 한 후 분만실에 들어가 아이를 낳았다고 한다. 참고로 그때 태어난 아이가 영화감독 잭 블랙이다. 이후 그녀는 Cascade Pass라는 출판사를 차렸고 20권 이상의 책을 출간하였다. 특히 'The Women of Apollo'라는 책을 출간했는데, 이 책에는 인간을 최초로 달에 착륙시키는..
-
한국계 우주인 조니 김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0. 4. 20:25
조니 김. 1984년생. 한국 이름은 김 용.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최초로 NASA 우주비행사 프로그램을 수료한 우주비행사. 부모님이 한국계 이민자였는데 학대를 일삼던 아버지 때문에 고교 성적이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힘을 길러야겠다는 생각에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군 입대를 결심함. 아버지는 2002년 술에 취해 그와 어머니를 폭행하고 집안에서 총기를 난사하다 출동한 경찰과 대치하다 경찰에 사살됨. 네이비 씰에서 100회 이상의 전투작전을 수행, 은성 무공훈장을 받는 등 성공적인 군 생활을 꾸려나가다 전우가 잘못된 의료 처치로 죽는 모습을 보면서 무력감을 느꼈고 (장교가 잘못된 응급처치를 하는 것을 보고 항의했으나 '니가 의사냐?' 라며 계급으로 눌러버린 장교 때문에 전우가 결국 죽음) 결국 의학을 공부..
-
먹거리X파일에 NASA 기술로 만든 모터로 콩을 간다던 콩국수집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8
진X회X. 태평로 삼성회관 뒤에 있는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콩국수 집 중 하나. 이건희 회장이 즐겨 먹었다고 하며 서울시내 왠만한 유명인은 다 한번씩은 들렀던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원래는 고기, 볶음밥, 섞어찌개 등도 판매하지만 여름에는 오로지 콩국수만 판다. 여름에는 가면 거의 언제나 줄서서 먹어야 하며, 자리 앉자마자 선불로 돈 내면 콩국수가 바로 나오는 시스템. 그 흔한 계란, 오이 고명도 없으며 오로지 콩국물과 국수만 있다. 진짜 말 그대로 콩국물로만 승부보는 집. 특수 모터를 이용해서 콩을 갈아서 국물을 내는 걸로 유명했고, 지금은 모르겠지만 옛날에는 콩국물 내는걸 아무도 못보게 사장 혼자 방에 들어가서 갈아서 나왔었다. 채널 A에서 방영되었던 먹거리 X 파일에서 이 집 사장이 자기네 콩 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