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
우주비행사와 수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2. 3. 00:10
무중력 상태인 우주선 안은 위(천장)와 아래(바닥)가 구별되지 않는다. 그래서 우주인은 주로 서서 잔다. 당연히 지구에서 사용하는 매트리스나 베개는 필요가 없는 대신 잘 때 팔이 공중으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팔짱을 끼거나 침낭 안에 팔을 넣어 차력 자세로 잠을 잔다. 자는 도중 이곳저곳을 부유하면서 물건이 부딪히거나 기계를 건드려 큰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잘 때 벽에 달린 끈으로 몸을 묶거나 벽에 고정된 침낭 안에 들어가서 잔다. 수면 시간은 하루 6시간 정도지만, 내부의 소음이 커서 귀마개를 낀 채로 잠을 청한다. 소리를 흡수하는 흡음재는 대부분 불에 잘 타는 소재여서 우주선에서는 안전상의 이유로 흡음재를 설치하기 않기 때문이다. 또한 우주선 안은 생명유지장치나 과학실험장치 등에서 발생..
-
우주에서의 성생활과 생식활동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1. 30. 00:10
우주에서의 성생활은 NASA의 매우 중요한 관심사 - 하지만 결코 드러낼 수 없는 - 중 하나이다. 특히 일론 머스크가 공공연하게 화성 이주 계획을 떠벌이고, NASA의 아르테미스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장기간 동안 우주에서 생활하는 것이 현실이 된 현재에는 더욱더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인간이 우주에서 어떻게 애를 낳고 키우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하지만 동물들의 생식활동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1979년 소련의 생화학 위성인 코스모스 1129호에서 18일간 설치류들의 교미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지구로 돌아왔을 때에는 몇 마리는 분명히 임신 상태였는데 실제로 새끼를 낳지는 못했다. NASA는 임신한 시궁쥐를 우주에 보냈었는데 이후 지구에 돌아와서 태어난 새끼쥐는 무중..
-
히든 피겨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3. 31. 23:16
히든 피겨스. 1962년 머큐리 계획이 진행되던 때 NASA에 있던 천재 흑인 여성 수학자들의 이야기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다.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도 올랐다. 1962년은 인간이 달로 가는 것보다 흑인과 백인 학생이 한 교실에 있는 게 더 이상할 만큼 인종차별이 만연해 있던 시절이었다. 이런 때에 NASA 최초의 흑인 여성 엔지니어가 되었던 캐서린 존스, 도로시 본, 메리 잭슨의 실화를 다룬 영화이다. 캐서린 존슨은 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우주비행선 역학의 계산에서 미국 최초 및 이후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폴로 달 착륙선과 왕복선의 경로를 포함한 머큐리 프로젝트 우주비행 궤적 계산 등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및 화성 탐사 프로젝트에도 참여하였다. 2015년 자유훈장을 받고,..
-
지구평면설 신봉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9. 6. 00:10
지구평면설 신봉자들은 지구가 구형이 아니라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지구는 평평하며 하늘은 물 혹은 크리스털로 된 돔으로 둘러싸여 있고 중앙에 있는 북극을 중심으로 가장자리는 남극이라 부르는 얼음벽에 둘러싸여 있어서 바닷물이 넘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중력은 존재하지 않으며(지구의 중력이 달을 끌어들인다고? 나비도 끌어 다니지 못하는데?) 지구의 자전속도와 공전속도라면 원심력으로 다 우주로 날아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구의 자전속도가 시속 1,660km, 공전속도는 초속 30cm라고?) 또한 이들은 실제 눈에 보이는 증거들도 인정하지 않는다. 학생들이 성층권까지 카메라를 올려서 찍은 사진에서 지평선이 둥글게 보이는 이유는 어안랜즈를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수평선 너머로 배가 사라..
-
단위를 잘못 써서 추락한 화성탐사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19. 00:39
1999년 나사에서 발사한 화성기후궤도선(MCO, Mars Climate Orbiter)이 정상적으로 화성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추락하는 사건이 일어남. 사건의 원인은 제조사인 록히드마틴에서 화성 궤도 진입을 위해 필요한 로켓 분사의 총 운동량변화를 킬로그램이 아닌 파운드로 표기했는데, 나사의 제트추진연구소는 이를 킬로그램으로 착각한 것. 그 결과 탐사선은 지나치게 낮은 궤도로 화성 궤도로 진입하게 되었고 그 결과 화성 상공에서 폭발해 버린 것. 원래 나사에서는 그 이전까지 미터법과 마일,파운드 단위법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 사건을 계기로 향후 국제적으로 추진할 우주사업에 애로가 많이 생길 것을 우려하여 내부 사용 단위를 미터법으로 통일함.
-
먹거리X파일에 NASA 기술로 만든 모터로 콩을 간다던 콩국수집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8
진X회X. 태평로 삼성회관 뒤에 있는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콩국수 집 중 하나. 이건희 회장이 즐겨 먹었다고 하며 서울시내 왠만한 유명인은 다 한번씩은 들렀던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원래는 고기, 볶음밥, 섞어찌개 등도 판매하지만 여름에는 오로지 콩국수만 판다. 여름에는 가면 거의 언제나 줄서서 먹어야 하며, 자리 앉자마자 선불로 돈 내면 콩국수가 바로 나오는 시스템. 그 흔한 계란, 오이 고명도 없으며 오로지 콩국물과 국수만 있다. 진짜 말 그대로 콩국물로만 승부보는 집. 특수 모터를 이용해서 콩을 갈아서 국물을 내는 걸로 유명했고, 지금은 모르겠지만 옛날에는 콩국물 내는걸 아무도 못보게 사장 혼자 방에 들어가서 갈아서 나왔었다. 채널 A에서 방영되었던 먹거리 X 파일에서 이 집 사장이 자기네 콩 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