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
일본 컵라면과 다르게 일본 봉지라면에는 건더기가 없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9. 10. 23:15
일본 인스턴트 라면은 특이하게 컵라면의 소비량이 봉지라면의 소비량보다 많다. 컵라면 6 : 4 봉지라면 정도로 소비된다고 하는데, 봉지라면이 75%, 컵라면이 25% 정도로 소비되는 한국의 경우와는 확연히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일본 봉지라면의 특징은 면과 스푸 대신에 건더기 스푸가 거의 들어있지 않는다고 한다. 이 또한 일본 컵라면의 풍성한 건더기와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일본 사람들은 인스턴트 라면을 끓일 때 따로 부재료를 넣어서 끓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마트에 가면 라면용 고명만 따로 파는 경우도 있다고 하며, 일본에서도 건더기가 많이 들어간 봉지 라면이 있긴 하지만 건더기 때문에 가격만 높아지고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집에 있는 건더기를 넣어 먹는 문화가 익숙해서 많..
-
의외로 건강식품이라는 라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28. 00:10
한국농수산물식품유통공사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은 일주일에 평균 1.7회 라면을 먹는다. 남성은 평균 1.8회, 여성은 1.5회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자주 먹었다. 언제 먹는지를 살펴보니(복수응답), 점심이 58.2% 1위, 저녁이 43.2%로 2위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50대 남성이, 여성은 30대와 40대가 가장 많이 먹었다. 전쟁 구호 식품으로 시작한 우리나라의 인스턴트 라면은 조리법도 간편하고 조리 시간도 짧으며 양도 적지 않다. 가격도 저렴한 편이며 장기보관도 용이해 서민들에게는 소중한 한 끼와 영양 보급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라면은 건강의 적으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다. 기름에 튀긴 면에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당뇨환자나 대사증후군 환자들에겐 치명적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
-
심해등각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4. 8. 00:10
심해등각류는 한국 해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국내 미서식종으로 학명은 '바티노무스'이다. '바다 바퀴벌레'라고도 불리지만 맞는 표현은 아니다. 엄밀히 따지면 부태벌레아목 모래무지벌레과의 갑각류이다.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의 춥고 깊은 바다에 살며, 마치 바퀴벌레와 같이 썩은 물고기의 사체를 먹고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래서 바다의 청소부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보통 8~15cm까지 커지는데 가장 큰 종은 무게 1.7kg에 몸길이 76cm인 녀석도 발견되었다고 한다. 먹이를 먹기 어려운 심해 생물이라 그런지 먹이를 먹지 않아도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다고 한다. 일본의 한 수족관에 있던 개체는 무려 5년 1개월 동안 먹이를 입에 대지 않고 지내다 죽었는데 체중변화가 거의 없어서 아사인지 명확하지 않다..
-
라면의 기원과 역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2. 3. 00:10
많은 사람들이 일본이 기원이라고 알고 있는 라멘, 즉 라면의 기원은 중국 음식이라고 한다. 라멘이라는 이름은 중국어 '라몐'(拉面, 랍면)에서 비롯되었는데, 원래 뜻은 '손으로 쳐서 만든 면, ' 즉 수타면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이게 어떻게 일본으로 넘어왔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1870년 요코하마 차이나타운에서 시작되었다는 설, 1910년 도쿄 아사쿠사의 중국 음식점인 라이라이켄에서 팔았던 난킨소바와 니사소바가 최초의 일본식 라멘이라는 설, 북해도 하코다테의 아이누족이 예전부터 먹던 돼지뼈 육수가 발전되어 만들어졌고, 라멘이라는 정확한 용어가 1922년 삿포로에 있었던 죽가식당에서 탄생했다는 설 등이 있다. 셋 다 중국이 기원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실제 중국 산시성의 란저우라는 곳에 가면 ..
-
한국에서 라면과 김밥 열심히 먹고 살이 빠진 외국인 선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0. 6. 00:10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원주 DB에서 선수생활을 하고 2018년부터 NBA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에서 뛴 디온테 버튼은 기자회견에서 한국에 있었을 때 식습관으로 본인의 다이어트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사실 디온테 버튼은 한국에 있을 때 라면과 김밥을 매우 좋아했고 고기요리에 곁들여 먹는 쌈장을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그가 한국에서 먹은 쌈장이 맘에 들어 사진을 SNS에 올리자 미국에 있던 그의 친구가 "그거 진짜 맛있다. 한국에 올 때 꼭 사와라!" 라며 주문한 적도 있다고 한다. 라면에 치즈 세 장을 넣어 먹던 그의 식성을 아는 한국 농구팬들은 그게 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냐며 의아하단 반응이었는데, 그것조차 미국의 정크푸드에 비해서 칼로리가 낮은 편이라 오히려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
-
라면 우지파동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8. 4. 11:53
1989년 11월 3일 '공업용 우지(소기름)로 라면의 면을 튀긴다'는 익명의 투서가 서울지방검찰청에 날아듬. 검찰은 라면회사들이 2등급 및 3등급 비식용 우지를 썼다며 5개 업체와 10명을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구속/입건함. 검찰은 이들 업체가 1989년부터 개정된 식품공전 중 원료 조항에 위배된다고 강조하였으나 업체들은 강력 반발함. 삼양식품은 "우지를 써서 라면으로 제조해 온 게 20년 전부터다. 그 전까지 정부에서 국민에게 동물성 지방을 보급한다는 취지에서 우지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추천했기에 사용했다. 이 사건 전까지는 식품위생법상 제반검사에서 적격판정을 받았다. 우리가 돈때문이면 팜유 수입가보다 톤당 100달러가 비싼 우지를 왜 썼겠냐?"라며 항의. 그러나 소비자단체들은 제품 전면 폐기와 ..
-
공업용 우지 파동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26. 22:27
1989년 11월 3일 '공업용 우지(소기름)로 라면의 면을 튀긴다'는 익명의 투서가 서울지방검찰청에 날아듬. 검찰은 라면회사들이 2등급 및 3등급 비식용 우지를 썼다며 5개 업체와 10명을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구속/입건함. 검찰은 이들 업체가 1989년부터 개정된 식품공전 중 원료 조항에 위배된다고 강조하였으나 업체들은 강력 반발함. 삼양식품은 "우지를 써서 라면으로 제조해 온 게 20년 전부터다. 그 전까지 정부에서 국민에게 동물성 지방을 보급한다는 취지에서 우지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추천했기에 사용했다. 이 사건 전까지는 식품위생법상 제반검사에서 적격판정을 받았다. 우리가 돈때문이면 팜유 수입가보다 톤당 100달러가 비싼 우지를 왜 썼겠냐?"라며 항의. 그러나 소비자단체들은 제품 전면 폐기와 ..
-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물을 적게 넣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7. 16. 11:41
오뚜기 라면 연구소에서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최적의 물 양을 아래와 같이 발표한 바 있다. ※ 조리물량 550ml 기준(진라면, 오동통면, 진짬뽕 등) - 1개 550ml - 2개 1,050ml - 3개 1,550ml - 4개 2,050ml. ※ 조리물량 500ml 기준(참깨라면, 스낵면, 열라면, 쇠고기미역국라면 등) - 1개 500ml - 2개 950ml - 3개 1,400ml - 4개 1,850ml. 이렇게 라면을 여러개 끓일 때 물양 * 라면의 개수대로 하지 않고 약간 적게 넣는 이유는 물의 증발 때문이다. 냄비에 물이 적을 수록 물은 더 빠르게, 더 많이 증발하는데 냄기 안에 담겨 있는 물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증발하는 면적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같은 시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