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
베트남에 '응우옌' 성이 많은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5. 3. 00:20
응우옌(한자: 阮)은 베트남과 중국의 성이다. 특히 베트남인 중 약 40%가 가진 응우옌 성은 베트남의 가장 흔한 성씨이다. 중국에도 있지만 많지 않고 한국에서는 ‘원’이나 ‘완’으로 발음된다. 베트남에 응우옌 성이 많아지게 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먼저 베트남의 여러 왕조가 바뀔 때마다 신왕조에서는 전왕조의 성씨를 다 응우옌으로 바꾸게 강제했다. 핍박을 받을 것을 우려한 멸망 왕조의 성씨들이 웅우옌으로 성을 바꾸기도 했다. 이후 베트남의 마지막 봉건왕조인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이후 응우옌 성을 가진 사람은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많은 죄인들은 죄를 감하고 은총을 받기 위해 응우옌으로 성을 바꿨다. 응우옌 성이 많아지게 된 다른 이유는 프랑스 때문이다. 19세기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가 ..
-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9. 4. 00:20
베트남인들은 1000년의 역사에 결국 자신들을 침략해 온 외세를 결국에는 물리쳤다는 자긍심이 강한 나라이다. 중국 진나라부터 청나라까지 1000여 년 간 중국의 지배를 받았던 베트남은 응우옌 왕조 때 중국에서 독립을 이뤄낸다. 이후 19세기 서양제국주의 팽창으로 1884년부터 1945년까지 프랑스 식민지 시기를 겪고, 이후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의 침략을 겪게 되지만(프랑스와 이중 식민지배) 2차 대전 후에 요동치는 강대국의 이해관계 속에서 잠시 무주공산이 된다. 프랑스는 다시 베트남을 식민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베트남의 저항에 직면한다. 초기에는 베트남군이 밀렸지만 게릴라전으로 전술을 바꾸어 끈질기게 괴롭히고, 당시 세계 곳곳의 식민지들에 독립 바람이 불어서 프랑스는 베트남에만 집..
-
반미 샌드위치의 유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16. 00:10
반미(Bánh mì) 샌드위치. 베트남식 바게트빵 샌드위치. 양념하여 구운 돼지고기나 새우완자에 당근, 쪽파, 고수, 무, 고추 등의 채소를 빵 사이에 끼어 먹고 위에 간장이나 느억맘 소스를 쳐서 먹는다. 베트남에 웬 바게트냐고 의아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베트남이 1887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바게트가 퍼지게 되었다. 모양은 바게트이지만 실제 프랑스 바게트같이 딱딱하지 않고 훨씬 부드럽다. 베트남식 바게트는 쌀가루를 넣어서 만든다고 한다.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이던 시절 수입품인 밀가루만으로 만든 빵은 고급 음식이었는데, 쌀가루를 섞어 먹으면서 베트남 사람들이 편하게 즐기게 되었다고 한다. 베트남을 대표하는 서민음식이자 스트리트푸드의 대명사이다. 반미라고 되어 있어 反..
-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이 뛰어난 활약을 할 수 있었던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6. 7. 19:44
당시 베트남에 파견된 한국군은 현재와 달리 포병체계가 완벽하게 갖추고 있지 않아서 보병 위주의 전략을 세웠다. 당시 한국군은 6.25 당시의 경험자가 많았고, 빨치산과의 전투를 통해 게릴라와의 싸움 경험이 충분했기 때문에 한국군이 실시한 중대전술은 미군이 오히려 역으로 배워갈 정도였다고 한다. 채명신 사령관이 고안한 중대전술기지가 대표적이다. 또한 베트남은 산이 많은 지형인데 한국군 역시 국토가 70%가 산인 나라에서 오다 보니 고지전과 산악전에 매우 특화되었던 것도 크게 작용했다. 그리고 한국군은 경계근무를 매우 철저히 했다고 하며, 기습을 당했을 경우 이를 격퇴한 후 끝까지 쫓아가서 게릴라들을 소탕하는 전술을 주로 사용했는데, 이로 인해 당시 베트콩들의 주요 전략인 기습공격이 한국군에는 잘 먹히지 않..
-
베트남 커피의 역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2. 8. 20:56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2018년 기준, 1위는 브라질) 베트남은 과거 프랑스의 점령을 받았는데 그때 커피 문화가 들어왔다. 1857년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커피가 베트남에 처음 들어왔다. 처음에는 상업적 이익을 위해 커피를 재배하진 않았으나 이후 환금작물(팔아서 돈을 벌기 위한 작물)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1970년대 동독은 심각한 커피부족을 겪었는데, 대부분의 커피 생산국이 미국의 경제권에 속해서 수입하기가 어려웠고 커피 최대 생산지였던 브라질에 1969년 서리가 내려 생산량의 70%가 소실됐고, 1975년부터 1977년까지에도 '검은 서리'라는 자연재해가 닥쳐 커피 생산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오일쇼크도 같은 시기에 일어나서 동독의 무역적자도 가중되었다. 이 상황을..
-
세로로 긴 나라 베트남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27. 21:28
베트남의 길이는 남북으로 1,650km인 반면 동서로 가장 좁은 부분은 50km 정도밖에 안됨. 베트남의 대표 도시인 하노이와 호치민만 해도 직선거리로 1,000km나 떨어져 있음. 기후도 북부는 사계절이 있는 반면(물론 한국보단 더움) 남부는 전형적인 열대 몬순 기후임. 원래 중국 남부에서 살다가 넘어 온 킨족(비엣족)이 원래 북베트남쪽에 살고 있었는데 베트남 남부의 참파 왕국과의 900년간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캄보디아 일부를 점령하면서 지금의 긴 영토를 가지게 됨.(경우에 따라 베트남 전쟁을 그 연장선상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음) 그래서 베트남 남부와 북부는 인종이 다름. 북베트남은 중국계이고 참파 왕국은 말레이계인종임. 그래서 베트남 북쪽 사람들은 중국계 와모가 많고 남쪽은 동남아계 외모가 많음. 그..
-
베트남 아오자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6. 23:42
아오자이(襖𨱽), 베트남어로 하면 '긴 옷'이라는 뜻이다. 주로 흰 천을 쓰며 긴 도포와 품이 넉넉한 바지가 특징이다. 원래는 미혼여성은 흰색의 아오자이를, 기혼여성은 색이 있는 아오자이를 입는데 현대에는 굳이 지키진 않는다. 여고생들의 공통적인 교복이기도 하며 관공서나 금융기관에서 일하는 여직원들이나 아나운서들도 입는다. 원래 응우웬 왕조 시대의 전통복장이 프랑스 식민지 시절 상체가 타이트하게 변형되면서 현대의 아오자이가 만들어졌다. 중국의 치파오(旗袍, 춘리 입고 있는 옷)가 더운 지방으로 오면서 얇은 명주천으로 개량되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중국의 한복공정과 비슷한 남방공정 관점에서 따르는 주장이다. 베트남 전쟁 직후에는 선정적(여성의 상반신이 강조되고)이며 비생산적인(옷감이 많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