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
칸영화제 수상작이지만 중국에서 상영금지된 영화 천주정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25. 22:21
천주정. 2013년 영화. 중국, 일본, 프랑스의 합작 영화로 자강커(지아장커) 감독이 연출했다. 2013년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돈이 멀어 부당하게 이익을 취하는 마을 촌장의 비리를 고발하려는 시골광부와 살인과 폭력에 지친 일상에 회의를 느껴 전국을 유랑하는 살인청부업자, 유부남 애인에게 지쳐 떠나려는 힘없는 호텔 사우나 직원, 어린 나이에도 가족을 떠맡은 가장이지만 유흥업소 접대부와 사랑에 빠진 청년 등 네 사람이 사회의 냉혹한 현실에 부딪히며 감춰져 있던 자신의 폭력적인 본성과 마주하는 모습을 옴니버스식으로 강렬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다루는 영화이다. 중국에서 실제 일어났던 사건과 사회의 불평등을 적나라하게 재현한 영화의 내용으로 인해 칸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에서 상..
-
사파리 한가운데에서 차에서 내렸던 여성의 최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9. 00:20
2016년 중국 북경에 있는 바다링(八达岭) 야생공원에서 호랑이들의 공격으로 여성 1명이 숨지고 다른 일행 1명이 상처를 입는 일이 발생했다. 이곳 사파리는 맹수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데 차에서 내리지만 않는다면 드라이브스루 관광객들이 자가용을 탄 채 탐방하도록 허용하고 있었는데, 시베리아 호랑이 구역에서 차에 타고 있던 부부가 부부싸움을 하다가 아내가 홧김에 차에 내려 남편이 있는 운전석 쪽으로 가다가 3마리의 호랑이의 습격을 받은 것. 절대 하차 금지 규정을 어겼다가 호랑이에게 물려간 여성은 끝내 구조되지 못한 채 사망했으며, 쫓아간 일행도 전신에 상처를 입어 출혈이 심했다고 한다. 그런데 다른 언론사에 난 기사에는 남편과 친정어머니, 아이를 동반한 상태였는데 처음에 물려간 여성은 상처만 입고, 이를..
-
전세계의 극찬을 받았던 평창올림픽 식당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7. 6. 12:56
평창올림픽 식당은 밥이 무엇보다 중요한 민족이자 손님 모시고 밥은 제대로 대접해야 한다는 마인드를 가진 우리 민족이 제대로 각 잡고 준비했다. 180명의 요리사들이 420여 종의 음식을 돌아가며 하루 평균 7 천인분을 24시간 제공했다. 식단 역시 체력 소모가 큰 선수를 위한 육류부터 식단관리하는 선수를 위한 샐러드나 과일까지 선수별 기호나 종교까지 다 맞추어서 먹을 수 있게 준비하는 등 다양한 식성을 맞추기 위해 최대한 노력했다. 월드, 아시안, 한식, 할랄 등 6개 스테이션을 운영했고 특히 한식 코너는 올림픽 온 선수들이 제대로 된 한식을 먹고 가게 하겠다는 마음으로 엄청나게 신경 써서 운영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인기도 많아서 올림픽 끝난 뒤 열린 패럴림픽 때는 한식 메뉴의 비중을 늘렸다고. 외국인..
-
대학에서 선택과목으로 바둑을 선택한 프로기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6. 30. 00:10
중국의 유명 바둑기사인 커제가 2019년 중국의 명문 칭화대에 입학했다. 칭화대는 우리로 치면 체육특기자 자격과 비슷한 '우수선수 무시험 입학추천 명단'에 칭화대 특별전형자로 이름이 올라가게 되었다. 전공은 공상관리학과(경영, 경제학)를 선택했다. 칭화대는 베이징에 있는 100년이 넘는 전통을 지닌 국립종합대학으로 공대가 유명하다. 시진핑, 후진타오의 모교이며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양전닝과 리정다오도 칭화대 출신이다. 커제 말고도 구리(역사학과), 장웨이제(경제관리학과) 송룽후이(역사학과) 역시 칭화대 출신이다. 입학 이후 한 네티즌이 '바둑을 선택과목으로 택했다고 하는데 사실이냐?'라고 묻자 부인하지 않아서 바둑과목을 수강한 게 알려졌다. 네티즌들은 '교수님이 어떻게 가르치지?', '수업을 들으러 가는..
-
한중일 삼국의 숟가락과 젓가락, 식사문화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6. 9. 14:15
숟가락은 약 5천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고 하며 가장 기본적인 식사도구이다. 한중일 3국중 숟가락 사용은 한국이 다른 나라들과 매우 다른데 한국만 유독 숟가락을 적극적으로 사용해 젓가락을 보조한다. 밥과 국은 숟가락으로, 반찬은 젓가락을 이용해서 먹게 되어 있으며, 밥을 먹을 때도 숟가락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금의 얇고 동그런 모양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한국은 탕류나 국류가 많아 숟가락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중국은 국을 먹을 때나 음식을 덜어 먹을 때만 탕츠(숟가락)을 이용하는데, 튀김이나 기름 요리가 많아 숟가락으로 떠먹기 불편하고 차 문화가 발전하면서 국물 요리가 점차 줄면서 숟가락의 사용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국을 먹을 때도 그대로 들어 직접 마신다. 일본은 도기 그릇이 없고 ..
-
중국이 간편결제가 발달한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5. 19. 23:19
중국의 간편결제 시스템의 발달은 아이러니하게도 위조지폐가 큰 이유가 되었다. 중국은 옛날부터 위조지폐의 천국으로 알려져 있었다. 2021년 중국 인민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1년에 수거되는 가짜 지폐만 평균 8억 위안(한화 약 1,897억)에 달한다고 하니 수거되지 않고 유통되는 위조지폐의 규모는 더 어마어마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은행에서 받은 돈도 위조지폐 감별기에서 위폐로 판명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한 중국은 뒤쳐져 있는 유선망 설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예 유선망을 건너뛰어 무선망을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발맞춰 중국 내 여러 회사들은 저렴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만들어서 배포했다. 결국 온 국민이 무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고 너나 할 것 없이 디바..
-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남자 농구 금메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5. 6. 00:20
2022년 10월 14일 펼쳐진 부산아시안게임 남자농구 결승전은 한국 농구 역사상 가장 값진 명승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승전에서 중국을 만난 우리 대표팀은 4쿼터 종료 3분 전까지 84대 71, 무려 13점 차로 중국에 끌려가고 있었다. 3분에 13점은 거의 끝났다고 봐도 무방한 점수차이다. 게다가 상대는 아시아 최강 중국이었고, 이후에 NB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야오밍과 당시 아시아 최고의 포워드 후웨이동이 버티고 있었다. 우리 대표팀은 뉴델리 아시안게임 이후 20년만에 아시아 정상을 노리고 있었는데 그동안 매번 중국의 벽에 무릎을 꿇어왔었다.(사실 박빙도 아니고 20여점차로 완패당한게 부지기수였다) 하지만 우리 대표팀은 김승현의 가로채기와 현주엽의 득점, 문경은의 3점슛 등을 통해 2점차까지..
-
과금하지 않으면 일본군을 죽일 수 없는 중국 게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5. 4. 16:59
량검(亮剑, Drawing Sword) 2005년에 방영된 항일소재의 중국전쟁드라마. 중국 작가 두량의 동명 소설을 원작화하였다. 배우 리유빈이 혁명군인 '이운룡' 역을 맡아 항일전쟁과 항미원조 등을 다룬 역사드라마이다. 제2차 중일전쟁과 제2차 국민공산내정, 한국전쟁 등을 배경으로 한다. 방영한지 오래되었지만 지금도 간간히 재방송되는데 재방송할때마다 시청률이 오른다는 역사적인 작품이다. CCTV의 경우엔 재방송을 무려 10번 넘게 했다고 한다. 2022년 틱톡이 검색한 역대 드라마 시청률 TOP 10중 6위에 오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