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
T-90을 격파한 브래들리 장갑차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2. 16. 00:10
2024년 1월 우크라이나 동부 전장에서 미국이 제공한 M2 브래들리 보병전투 장갑차가 기관포를 연사해 러시아군의 주력전차인 T-90을 파괴한 영상이 공개되었다. 125mm의 주포와 반응장갑을 장착한 T-90은 보병수송용인 브래들리보다 2배 가까이 무겁고 전장에서의 목적 자체가 다른 한 차원 높은 기갑 전투차량이다. 간단히 말하면 브래들리와 T-90의 싸움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과도 비견될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우크라이나 제47기계화여단 공식 SNS을 통해 공개한 드론 영상으로 동부 도네츠크주 스테포베 마을 인근에서 러시아제 T-90과 브래들리간의 근거리 교전 모습이 담겨 있다. 브래들리는 T-90에게 주무장인 M242 25mm 기관포 세례를 쏟아부었다. 브래들리의 장갑은 T-90의 주포를 막을 수 없..
-
러시아의 프로파간다 가수 '샤먼'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8. 26. 00:10
샤먼. 러시아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 프로듀서. 본명은 야로슬라프 드로노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푸틴 정권을 지지하며 애국심을 드러내 국영 TV의 주요 출연자가 됐다. 올해 3월에 있었던 푸틴의 대선 출마를 강력하게 제안한 유명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푸틴 취임식에도 초청받았었다. 1991년생으로 모스크바에서 230km 떨어진 노보모스코프스크 출신이다. 샤먼은 종종 러시아 국기 색상의 완장을 착용하고 무대에 올라 ‘나는 러시아인입니다’를 부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곡 가사에는 러시아인들은 무너지지 않으며, 무엇이든 끝을 보고, 아버지의 대를 잇는다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가수 활동 외에도 작사나 작곡도 한다.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재능을 보였다고 하며 샤먼이라는 예명은 2020년부터 사용하기..
-
우주에서 나라가 없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우주비행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5. 19. 00:20
1991년 5월 18일 세르게이 크라칼료프는 5개월간 머무를 계획으로 우주정거장 미르로 향했다. 그러나 그사이 소련에서는 군사쿠데타가 일어나고 고르바초프가 복귀하는 등 엄청난 혼란이 발생하고 우주에 있던 세르게이는 잊혀진 존재가 되었다. 지상에 있는 동료들이 세르게이를 구하려고 했을 때는 이미 소련은 붕괴되어 버렸고 뒤를 이은 러시아도 재정이 파탄난 상태여서 세르게이를 데려오기 위해 우주선을 쏠 여력이 없었다. 결국 러시아는 세계 각국에 호소, 이를 받아들인 독일정부가 약 200억원의 재정지원을 하게 되어서 1992년 3월 17일 그를 귀환시키기 위한 우주선이 발사되었고 3월 25일 귀환에 성공한다. 세르게이가 313일 만에 밟아 본 땅이었다. 이러한 크리칼료프의 이야기는 다큐멘터리로도 제작되었다. MB..
-
표토르 대제와 수염세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9. 00:10
처음에 표토르 대제는 '우리도 이제는 유럽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자' 라며 옷차림도 유럽식으로 바꿀 것을 명했다. 특히 수염을 깎을 것을 강요했다. 1698년 왕족과 귀족, 군 관료들을 초대한 만찬에서 "지금 이 순간부터 러시아 남성들은 수염을 기르지 못한다." 라며 이발사를 불러 본인부터 수염을 깎았다. 그러자 엄청난 반발이 일어났다. 러시아 동방정교회 성직자들은 면도는 신의 형상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가장 크게 반발했고 어떤 지역에서는 반란까지 일어났다. 결국 표토르 대제는 한 발 물러서 수염을 기르려면 수염세를 부과하기로 묘안을 냈다. 신분이나 수입에 따라 수염세는 차등징수되었다. 사람들은 수염세를 납부했다는 증명인 수염 토큰을 소지해야 했고 귀족들은 다른 도시로 이동할 때마다 특별통행세를 내야 했..
-
알래스카가 미국땅이 된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8. 00:20
1867년 10월 18일 러시아제국은 대한민국 땅의 15배 크기의 알래스카를 미국에 미화 720만 달러에 매각했다. 1㎢ 당 5달러의 헐값에 팔린 알래스카에서는 이후 금과 석유, 막대한 양의 석탄이 나왔다. 뿐만 아니라 냉전시기 미국이 구 소련을 견제하는 요새로서 군사적 가치도 매우 높았다. 원래 알래스카는 북미 에스키모인의 일파인 알류트족이 살던 땅이었는데 17세기 중엽 시베리아 동쪽 끝까지 탐험하던 러시아 탐사대가 베링해협을 넘어 발견하게 되었다. 러시아인들은 알래스카의 모피를 얻기 위해 알류트족을 공격, 이들을 노예로 삼고 식민지화했다. 마침 러시아인들과 함께 넘어온 전염병으로 인해 알류트족의 80%가량이 사망했다고 한다. 이후 러시아 알래스카는 국제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수도 노보아르한겔스크(현..
-
러시아 전투기 6대를 격추한 우크라이나 이등병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22. 00:10
2022년 9월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로만 그롬바 이등병이 적기 6대를 격추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웅 칭호를 얻었다”라고 발표했다. 그롬바 이등병은 올해 입대한 19세 신병으로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지역에서 대공포 사수로 복무하며 휴대용 대공 미사일(MANPADS, 정식 명칭은 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으로 보병용 휴대용 대공 미사일을 뜻한다.)로 러시아 전투기 6대와 미사일 1대를 격추하는 전적을 세웠다고 한다. 그롬바 이등병은 역사상 최초로 징집병 신분으로 '영웅'칭호를 받았다. 한편 2022년 3월에는 70대 노인이 엽총으로 러시아 Su-34 전투기를 격추한 공을 인정받아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영웅 메달을 받았다. 우크라이나 국경수비대에 따르면 체르니히우 지역에 거주하는 72..
-
암에 좋다는 차가버섯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5. 14. 00:20
차가버섯은 북위 45도 이상의 시베리아 타이가 삼림,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아메리카 북부 지역 등 추운 지역에 서식하는 버섯이다. 추운 지역에서 자란 차가버섯일수록 영양성분이 많다고 한다. 재배도 가능하지만 영양 함량이 떨어진다고 한다. 살아있는 자작나무에 착생해 수액을 빨아먹고 자라는 독특한 버섯으로 살아있는 나무에 기생하는 거의 유일한 버섯이다. 자작나무의 상처를 통하여 자작나무에 침투하여 목질을 제거하며 자리 잡는데, 자작나무의 수액을 섭취하기 위해 기다란 조직을 자작나무 내부에 구축한다. 차가버섯은 자작나무 한 그루에 하나씩밖에 자라지 않으며 15~20년 정도 성장해야 영양분이 풍부해지는데 이 정도 자라면 되면 150~200년 정도 자라온 자작나무도 죽게 된다. 그래서 차가버섯을 '자작나무..
-
러시아의 음주와 음주운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5. 4. 17:06
과거 러시아에서는 알콜도수 10% 미만이었던 맥주를 술로 분류하지 않았다. 그래서 10대 청소년들이 길거리에서 맥주를 마시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그러다가 2013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맥주를 술로 규정하도록 주류법이 개정되었다. 맥주를 술로 규정하게 된 이유로는 보건단체와 금주단체들의 끈질긴 압력 때문이었다.(세금 때문이란 얘기도 있다) 당시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15~54세 남성의 사인 중 절반이 술에 따른 것이었다고 하며, 러시아에서 1만1천500명의 어린이가 술을 마시고 있고, 이 가운데 10~14세 어린이 161명이 알코롱 중독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러시아는 음주운전 사고가 가장 많은 나라라고 알려져 있는데, 음주운전 처벌도 강한 편이다. 러시아는 음주운전을 많이 하는 만큼 음주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