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
미국에서 노숙자가 많이 늘어난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26. 00:09
미국 주택도시개발부의 연간 조사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20년까지의 노숙인 수는 미국 발 세계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크게 변동하지 않았으나 최근 4년간 전체 노숙자의 수와 장기 만성 노숙자의 수가 모두 증가하는 추세라고 함. 버려진 건물이나 거리 등 비보호 지역에 거주하는 노숙자의 숫자, 유색인종 노숙자들의 수 모두 증가했다고 함. 미국 서부의 주요 도시들은 노숙 문제로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지경에 이름. 기본적으로 빈곤층이 노숙자가 되는 데에는 저렴한 주택의 부족, 고용 기회의 부족, 복지제도 감소, 높은 의료비 등의 사회적인 문제와 가정폭력, 정신질환, 중독(알코올이나 약물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 특히 코로나 팬더믹 이후 경기침체와 복지축소, 일자리 부족 등의 문제가 더해짐. 노숙자의 증..
-
북한이 미사일을 계속 발사하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21. 17:11
북한이 계속해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이유는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높이는 수단이며, 주위 세력에 밀리지 않기 위한 선택이자, 내부 결집 수단이기 때문이다. 한미-한미일 연합훈련 등으로 한국과 미국, 일본이 연합훈련을 실시하고 핵 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호'가 한반도 수역에서 활동하는 등에 따른 시위 활동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크게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핵무력 강화 노선에 따른 미리 계획된 발사와 두 번째는 정치적 의도가 담긴 발사이다. 최근 북한이 발사하는 미사일은 두 번째 경우가 많은데 일단 외적인 상황을 살펴보면 미국은 자국 이슈 때문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에 정신이 팔려 북한에 큰 관심이 없는 상황이고, 중국 역시 시진핑 3연임이 성공적으로 안..
-
다음중 혈액을 붉게 하는 물질은?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2. 16. 21:00
ㄱ.피브린. 간에서 만들어진 혈액 응고인자인 피브리노겐이 혈액응고 마지막 단계에서 섬유질의 비구형 단백질인 피브린을 만들어 혈액을 굳히는 역할을 한다. 제1응고인자인 피브리노겐 수치가 적으면 혈액 응고가 잘 안되어 출혈이 안멎고 멍이 잘 들거나 잇몸에서 출혈, 빈번한 코피 등의 증상이 나오고 피브리노겐 수치가 높으면 혈전이 잘 생긴다. ㄴ. 헤모글로빈. 적혈구의 일부로 산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붙잡는 성질이 있는데 산소 분압이 높은 폐에서는 산소와 잘 결합하다가 산소 분압이 낮은 체내에서는 결합하던 산소를 분리한다. 헤모글로빈 을 이후는 헴(heme)부위의 가운데에 철이 들어 있어 피가 붉게 보이게 한다. ㄷ. 에리스로포이에틴. 조혈인자, 즉 피를 만드는 당단백질 호르몬으..
-
남성이 20대 초반 여성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11. 7. 20:51
남성이 가장 매력을 느끼는 나이 때가 20대 전반의 여성이라는 것은 지금까지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밝혀진 사실임. 여러 연구결과도 그렇고 데이트 어플 통계나 인터넷 빅데이터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냄. 이는 유전적으로 20대 초반의 여성이 가장 건강한 난자를 생성해 내서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고, 출산 후 육아에도 가장 유리한 나이대이기 때문이라고 함. 또한 동일한 여성이더라도 남성은 가임기 - 즉 배란기 때 여성의 얼굴을 더 매력적으로 느낀다는 연구결과도 있음. 재미있는 것은 여성들도 그 사실을 본능적으로 알기 때문에 25세를 기점으로 그보다 더 어린 여성은 나이 들어 보이는 화장을, 25세 이후의 여성은 어려 보이는 화장을 선호한다고 함. 이것도 자신의 매력을 어필하기 위한 본능적 행동이라고 분석..
-
영국 요리가 악명을 갖게 된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23. 00:21
영국요리에 대한 악명은 최소 300년 이전부터 나왔다고 하며 같은 유럽 여러 나라들의 조롱과 풍자의 대상이 되었고 영국인 스스로도 자학개그의 대상이 되어 왔음. 영국의 요리가 맛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일단 16세기부터 발생된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음식을 통한 향락과 사치를 지양하고 많은 조리기법을 사용한 조리 방식을 멀리했으며 심플하고 간결한 조리법과 재료 본연의 맛을 즐기는 특성이 생겼음. 이렇게 청교도적 금욕주의로 손이 많이 가는 요리법을 사치라고 생각하는 문화가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데다 산업혁명의 여파로 대부분의 국민들이 하층 노동자로 전락했을 때에는 음식이 맛을 즐기는 대상이 아니라 에너지 섭취의 수단이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맛있는 요리가 없었음. 영어권에 '맛있게 드..
-
한자를 배우면 한글 쓰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23. 00:10
현재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단어의 70% 이상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말과 우리글인 한글을 혼돈하는 경향이 있는데, 우리말의 표기 방법이 표음 문자인 한글이고, 우리말의 어원은 한문이라 볼 수 있다. 일상생활속에서는 한글의 사용에 지장이 없지만, 조금 더 정확하고 전문화된 내용은 한글만으로는 그 의미를 전달하기 어렵다. 한자는 표의문자인데 이를 이용한 조어력이 무한하기 때문에 한자어를 이용함으로써 그 뜻을 보다 명확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강력한 축약력으로 문서의 전체 내용을 줄이는데도 매우 효율적이다. 한자의 뜻을 알게 되면 어휘력 또한 비약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學'자를 알게 되면 이후 學生(학생), 學校(학교), 學院(학원), 학부모), 學用品(학용품) 등으로 어휘가 확장되는데..
-
미국이 미터법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9. 20. 23:46
미국은 미얀마, 라이베리아 등과 함께 미터법을 쓰지 않는 나라 중 하나임. 미국이 왜 미터법을 안바꾸냐? (심지어 미국은 미터협약 회원국이기도 함.) 1999 화성기후궤도선 추락 사고같은 큰 사고부터 미국-캐나다간 국경지역 속도표지판 문제 같은 사소한 일들이 많이 일어나지만 귀찮으니까 익숙한 대로 쓰자라는 생각 때문임. 사실 미 정부에서는 옛날부터 바꿔하고 싶어 했음. 3대 토머스 재퍼슨 대통령도 미터법을 도입하려 했고, 1975년 미 의회에서 '미터법 우선 사용 전환령'을 통과시키기도 했음. 39대 지미 카터 대통령은 고속도로 거리 표기를 km로 바꾸라고 지시하기도 했음. 지금도 미 대선 공약 중에 미터법 전환은 자주 나오는 공약임. 근데 문제는 미터법 전환을 하려 할 때마다 강력한 저항에 휩싸임.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