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파리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공개한 선수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7. 00:10
파리올림픽 선수촌은 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이는 것을 모토로 건설되었다. 파리 북부 외각 생드니와 생투앙쉬르센, 릴생드니에 걸쳐서 약 52헥타르 축구장 약 70개 크기의 파리올림픽 선수촌은 약 7,200개의 객실 숙소와 3200석의 레스토랑 및 부대시설 등 약 80동의 건물로 이루어졌다. 이 선수촌에는 올림픽 기간에 약 1만 4500명, 패럴림픽 기간 약 9000명의 선수와 스태프를 수용하게 된다. 선수촌은 올림픽이 끝난 후 2025년 일반 주택과 학생 기숙사, 호텔, 일반 사무실 등으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선수촌은 목재 등 바이오 소재를 최대한 사용했다. 전기 공급은 지열과 태양열 등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며 실내 에어컨 설치 대신 건물 간 공기 순환을 촉진하는 배치와 건물 크기의 다양화로 자연 냉각을 꾀해..
-
추축국(樞軸國)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6. 23:42
추축국(樞軸國). 제2 차 세계 대전 때에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맺은 삼국 동맹을 지지하여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연합국과 대립한 여러 나라.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일본이 대표적인 주요 국가이며, 그 외 헝가리, 루마니아, 불거리아, 유고슬라비아가 가입국이다. 최초의 아이디어는 헝가리의 줄러 곰보스 총리가 고안했으며, 추축국이라는 명칭은 1936년에 무솔리니가 '유럽의 국제관계는 로마와 베를린을 연결하는 선을 추축으로 변화할 것이다'라고 연설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영어로는 중심선, 축 등을 의미하는 Axis라고 한다. 2002년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이라크, 이란, 북한을 지명하면서 악의 축(axis of evil)이라고 표현한 적도 있다.
-
Strange Fruit(이상한 열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4. 00:20
빌리 홀리데이의 최고 대표곡 중 하나인 “Strange Fruit”(이상한 열매)는 뉴욕 브룽크스 출신 교사이자 시인인 아벨 미어로플이 1930년대 중반 백인들에게 살해돼 나무에 매달린 흑인들의 시체 사진을 보고 쓴 시에 곡을 붙였다. 이후 1939년 이 곡을 소개받은 빌리 홀리데이가 부르면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빌리 홀리데이는 처음 이 곡을 접했을 때 흑인이라는 이유로 제대로 된 치료도 받지 못하고 죽어야 했던 아버지 생각이 났다고 한다. 백인들은 당연히 이 노래를 불편하게 생각했다. 그녀의 레이블인 콜롬비아 레코드도 처음엔 남부지역의 도매상들이 공동 소유하고 있는 CBS 라디오의 반응이 두려워 음반 발매를 주저하기도 했다. 발매 이후엔 백인들에 의해 금지곡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
-
엘든 링 황금 나무로의 길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4. 00:10
엘든 링 황금 나무로의 길. 엘든 링을 소재로 한 일본의 만화. 작가는 토비타 니키이치. 극화체에 수준 높은 작화로 유명하지만 내용은 개그만화이다. 근데 엘든 링 세계관에 대한 이해도 엄청 뛰어나다. 심지어 이 만화는 엘든 링의 "공식" 코믹스이다. 진중하고 수준 높아 엘든 링 세계관에 잘 어울리는 작화와 어딘가 나사가 하나 빠진 듯한 병맛의 블랙코미디 내용 사이의 괴리가 히트포인트. 주인공 아세오가 멜리나의 인도를 받아 엘든 링 세계를 여행하는 여정을 다룬다. 일본에서는 코믹스워커에서, 국내에서는 노블엔진 네이버 포스트에서 연재 중이다.
-
탕웨이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3. 00:10
탕웨이. 1979년생. 중국 출신의 배우. 중국 3대 예술대학 중 하나인 중앙희극학원 출신으로 2000년대부터 중국에서 연기활동을 시작했다. 놀랍게도 입시때 못생겼다는 이유로 계속 불합격을 해서 3수 끝에 연기과가 아닌 영화제작 관련 학과로 입학했다. 아버지는 유명한 불교화가이고 어머니가 저장성에서 이름을 날렸던 경극 배우 출신이라고 한다. 끼는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듯. 그런데 어머니가 오랫동안 편찮으셔서 어린 시절 어렵게 생활했고, 그 사실을 알게 된 초등학교 담임 선생님이 탕웨이를 집으로 데려와 딸처럼 키웠다고 한다. 지금도 탕웨이는 그 선생님을 어머니처럼 극진하게 모신다고 한다. 2007년 이안 감독의 영화 '색, 계'에 출연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항일운동을 하던 주..
-
깨진 유리창 이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2. 00:20
깨진 유리창 이론. 1982년 3월 범죄학자 제임스 Q. 윌슨과 조지 L. 켈링은‘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 theory)을 발표한다. 건물의 유리창이 깨진 채 방치되면 누구도 관리하지 않는 건물이라고 생각되어 낙서, 쓰레기 불법투기 등의 불량의 온상이 되고 경미한 범죄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마침애 일반 주민은 불안하여 그곳에 가지 않게 되고, 한층 질서가 문란해져서 흉악범죄가 다발하게 된다고 한다. 정리하자면 깨진 유리창이 많은 지역일수록 범죄율이 높은 까닭은 깨진 유리창이‘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으니 당신 마음대로 해도 좋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소해 보이는 것들이 사람들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것이다. 1980년대 뉴욕은 연간 60만 건 이상의 중범죄 사..
-
국밥의 역사와 기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2. 00:10
국밥은 국에 밥을 말아먹는 우리 전통 음식이다. 특이하게 쌀을 먹는 문화권 중에서 이렇게 국을 말아먹는 문화가 거의 없는데, 유독 우리나라에만 국밥이 발전한 이유는 다른 안남미를 많이 먹는 나라들에서는 주로 밥을 양념에 볶아 먹기 때문에 밥을 마는 행위가 익숙하지 않고, 우리나라가 화강암 지형이라 양질의 물을 많이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국을 만들어 먹은 것은 삼국사기때부터 전해지나 지금 우리가 보는 국밥은 주로 조선 후기 이후부터 발전했다. 특히 전국 각지까지 화폐가 퍼져서 일반화되고, 상공업이 발달하게 되면서 음식을 사 먹는 문화가 발달하게 되었고 보부상들이 전국을 돌아다니게 되면서 숙박만 제공하던 주막에서도 음식을 제공하면서 자연스럽게 국밥 또한 발달하게 되었다. 국밥은 조선 말엽부..
-
백 명의 범죄자를 놓치더라도 단 한 명의 억울한 사람을 만들지 않는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6. 11. 00:20
백 명의 범죄자를 놓치더라도 단 한 명의 억울한 사람을 만들지 않는다. 원본은 "It is better that ten guilty persons escape than that one innocent suffer."(10명의 범인을 놓치더라도 한 명의 무고한 사람이 고통받으면 안 된다.) 라는 말로 법률 관련 분야에서 유명한 관용어이다. 무죄추정의 원칙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로 18세기 영국의 법학자인 윌리엄 블랙스톤이 한 말이다. 윌리엄 블랙스톤은 법학자이자 판사, 정치인으로 옥스퍼드 대학에서 최초의 영국법을 가르친 교수로 그의 저서 '영국법 주해'는 영국법에서 가장 권위있는 책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