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
세계 3대 요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1. 31. 00:10
일반적으로 세계 3대 요리라고 하면 주로 역사적인 영향력과 요리 기술과 다양성, 그리고 세계적인 인지도를 감안하여 중국, 프랑스, 튀르키예를 꼽는다. 중국은 엄청나게 긴 역사와 엄청나게 넓은 땅, 엄청나게 다양한 지리와 기후, 그리고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 덕분에 지방별로 특색 있는 요리가 무궁무진하다. 중국 요리의 역사는 3천 년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송나라(10세기말~13세기) 때 기본형태가 정비되었다. 프랑스 요리는 화려한 왕정시대와 로마제국의 궁정요리를 토대로 한 세련된 기술과 지역의 명물요리를 조합했다. 서유럽의 넓은 평야지대의 혜택을 받아 풍족한 자원을 얻을 수 있었고 사치의 극한을 달린 중앙집권식 귀족제와 사회정치적 변화를 겪으며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며 단순히 배를 채우는 식사가 아닌 음식..
-
감자튀김이 프렌치 프라이라는 이름이 된 유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7. 4. 00:10
감자튀김/프렌치프라이. 감자를 긴 막대 모양으로 썰어 기름에 튀겨 낸 음식. 벨기에와 프랑스 모두 자기네 나라에서 처음 만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french fries 혹은 French fries라고 대문자로 쓰기도 하며 줄여서 그냥 fries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영국이나 호주, 남아프리카,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 영연방권에서는 potato chips나 줄여서 chips라고 부른다. 프렌치프라이라는 이름이 퍼지게 된 이유는 미국이 시발점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다. 1802년 토머스 제퍼슨은 "백악관 만찬에서 프랑스식으로 감자를 제공했다"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French Fried Potatoes"라는 표현은 1856년에 엘리자 워렌(흔히 워렌 부인으로 알려져 있다)이 쓴 책에..
-
유럽 고성이 헐값에 부동산 매물로 나오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31. 00:10
동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유럽의 고성이 강남 아파트 전셋값 정도밖에 안 되는 금액으로 매물이 나와서 해외토픽에 올라오는 경우가 왕왕 있다. 부와 권력의 상징인 고성이 이렇게 저렴한 가격으로 나오는 이유는 경기침체와 높은 비용의 유지비와 세금 때문이다. 또한 공사비와 수리비 등도 큰 부담이 된다. 한 취재에 따르면 고성중 가족들이 거주하는 방에만 난방을 최소한으로 해도 1년에 1만 2천 유로 정도의 난방비가 든다고 하며 그 비용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난방비 외에도 각종 관리비를 더한 유지비가 큰 부담이 된다고 한다. 또한 성들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마음대로 공사나 주거개선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프랑스의 경우 보수공사를 하려면 당국에 4가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고 승인을 받는데 최대..
-
화학의 아버지지만 징세 비리로 처형당한 라부아지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4. 1. 1. 00:10
앙투안 라부아지에. 프랑스의 과학자. 근대화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화학을 연금술과 구별하여 독립적인 학문으로 만든 사실상 '화학'이란 학문을 창시했다고 평가받는다. 변호사 집안에서 태어난 금수저로 11세 법학 대학 입학한 천재였으나 화학, 식물학, 지질학, 우주과학에 더 관심이 많아서 24세때 최연소 나이로 과학아카데미 보조 화학자로 임명되었다. 라부아지에는 아리스토텔레스때부터 믿어 의심치 않던 물,불,흙,공기가 물질을 구성하는 4개의 원소라는 4원소설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물질이 불에 타는 것은 물질 안에 있는 플로지스톤 성분이 빠져나가면서 불로 방출된다로 믿어져 왔던 플로지스톤설도 무너뜨렸다. 질량 보존의 법칙을 발견한 것도 그였다. 그밖에 원소의 정의를 수정했고, 베르톨레와 프르크루아의 도..
-
'사람은 다 죽는다' 며 출동 거부해 흑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프랑스 119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10. 12. 00:20
2017년 12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지역에 사는 22세의 흑인 여성 나오미 무셍가는 극심한 복통을 호소하면서 응급구조서비스(SAMU)에 구급차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전화를 받은 직원은 “세상의 모든 사람들처럼 당신도 언젠가는 죽겠죠.”이라고 비아냥거린 뒤 구급차를 보내지 않았고 의사에게 전화해 보라는 말을 한 뒤 구조선터 번호를 알려주었다. 무셍가 씨는 안내받은 번호로 전화했지만 그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전화를 받은 구조센터 직원은 짜증을 내면서 “당신이 어떤 상황인지 모르겠다. 도와줄 수 없다”면서 또 다른 전화번호를 안내했다. 결국 무생가 씨는 구급차가 아닌 의사를 보내주는 응급서비스에 다시 전화해 5시간 만에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다발성 장기부전에 따른 과다출혈로 결국 사망하고 말..
-
저주받은 호프 다이아몬드의 진실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8. 27. 00:30
블루 호프 다이아몬드. 45.5캐럿의 블루 다이아몬드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저주받은 다이아몬드로 불리고 있다. 원래는 인도 정글 속에 있는 한 힌두 사원에 있는 힌두신의 석상에 있던 눈이었는데 이것을 발견한 프랑스의 탐험가 장 밥티스트 타베르니가 훔쳐왔고 이후 이 다이아몬드를 소유한 사람들이 모두 제명에 못 살고 죽었다는 전설이 있다. 원래는 100캐럿 이상의 크기는데 프랑스 왕실로 소유권이 넘어간 후 67캐럿으로 커팅되어 왕의 휘장에 박혀있었다. 그러다가 프랑스혁명 중 황실의 보물 중에 빼돌려져서 다시 커팅되어 현재의 크기로 변했다고 한다. 현재는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는데 마지막 소유주였던 뉴욕의 보석상 해리 윈스턴이 더 이상 다이아몬드의 저주를 막아야겠다는 생각에 박물관에 돈까지 얹어주고..
-
프랑스의 히잡 착용 금지 정책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3. 8. 18. 00:20
의외로 개인의 자유를 존중할 것 같은 프랑스에서 2004년 학교에서의 히잡 착용을 금지했다. 프랑스는 "공공 교육시설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종교적 상징물도 착용할 수 없다" 며 히잡뿐만이 아닌 부르카(머리부터 발 끝까지 덮는 이슬람 여성 복장), 시크교의 터번, 유대교의 다윗의 별, 심지어 기독교의 십자가마저 금지했다. 프랑스에서는 1989년 이후 프랑스 학교에서 이슬람식 헤드스카프를 착용한 학생을 종교적 상징을 가시적으로 드러내었다며 학교장이 퇴학시킨 이른바 '히잡 사건' 이후 10여 년간 논란이 되어 왔는데 이에 대한 일단락을 짓는 결정이었다. 이러한 결정에 대해 프랑스가 20세기 초부터 지켜 온 정교분리원칙의 재천명이라는 의견도 있었고, 신인종주의애 대한 굴복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프랑스 사회의 기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