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
미국과 미터법 - 종합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4. 3. 00:10
미국은 미얀마, 라이베리아 등과 함께 미터법(정확히 말하자면 SI 단위)을 쓰지 않는 나라 중 하나이다. 오죽하면 '미터법을 쓰는 사람은 이민자, 과학자, 마약상들뿐이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다. 전화기를 발명한 그레이엄 벨이 미 의회에서 "우리가 사용 중인 길이와 중량의 도량형은 불필요한 수고가 너무 많이 따릅니다. 그럼에도 그 사실을 직시하고 있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라고 연설했지만 바뀌는 것은 없었다. 다만 NASA에서는 미터법을 이용하는데 1999년 화성기후궤도선 추락사건 때문이다. 1999년 NASA에서 화성 기후를 관측하는 것이 목적인 기후궤도선을 발사했는데 화성 궤도에서 추락한 사건이 발생했다. 원인을 알아보니 제조사인 록히드 마틴에서 화성 궤도 진입을 위해 필요한 로켓 분사의..
-
치솟는 미국의 계란값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24. 00:10
현재 미국은 치솟는 계란값때문에 골머리를 썩고 있다. 지난 2022년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1억6000만 마리 이상의 산란 닭을 살처분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에그플레이션(계란+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를 만한 수준이다. 특히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 후 전방위적인 관세 압박(협박) 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졌고 사태는 더욱 심각해졌다. 미 농림부 장관은 계란 값 대책으로 “뒷마당에서 닭을 키우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언론 기고문에 “계란 값을 낮추기 위해 일반 가정에서 닭을 기를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쓴 것을 보면 실언도 아니다. 처음엔 마트에 계란이 없어서 오픈런을 할 정도였지만 지금은 진열대에 계란이 있어도 소비자들이 집지를 않는다. 너무 비싸기 때문이다. ..
-
미용사들이 가명을 쓰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20. 00:10
옛날에 미용사들이 가명을 많이 쓰는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한다. 먼저 옛날부터 미용사는 서비스직이고 손님이나 원장에게 받는 처우가 좋지 않다 보니 좋은 집안보다는 잘 못살고 돈 없는 집의 여성들이 많이 택하는 직업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집들은 딸의 이름을 신경 써서 짓지 않고 촌스럽게 막 짓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손님 입장에선 자신의 머리를 세련되게 가꿔줘야 할 사람의 이름이 촌스러우면 미용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니 가명을 쓰게 된 것이라고 한다. 또한 과거에는 미용사란 직업이 그렇게 대우받거나 당당한 직업도 아니었다보니 자신의 과거를 감추기 위해 가명을 쓰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그밖에 해외에서 미용기술을 배워왔다고 어필하기 위해 외국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무..
-
식사때 웃어른이 먼저 숟가락을 드는 예의범절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14. 00:10
식사할 때 어른이 먼저 숟가락을 들어야 나머지 사람 식사하는 이유는 예의와 문화적인 관례에 기인한다. 어른들에게 존경과 예의를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로 어른들은 가족이나 사회에서 더 많은 책임과 역할을 맡고 있으며 그들의 경험과 지혜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른들이 먼저 식사를 시작하고 그들이 수저를 들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예의와 존중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이 음식물을 만드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게 가장이기 때문에 가장이 먼저 먹기 시작한 것이 굳어졌다는 설과, 어른은 경험이 많기 때문에 먹어도 되는 음식과 먹으면 안 되는 음식을 구분할 수 있는 지혜가 있기 때문에 이를 따르기 위해 먼저 먹었다는 설 등이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식사 전에 손을 씻는다.', '부모님을..
-
미용사들이 예명을 사용하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12. 00:10
미용사들이 가명을 많이 쓰는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한다. 먼저 옛날부터 미용사는 서비스직이고 손님이나 원장에게 받는 처우가 좋지 않다 보니 좋은 집안보다는 잘 못살고 돈 없는 집의 여성들이 많이 택하는 직업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집들은 딸의 이름을 신경 써서 짓지 않고 촌스럽게 막 짓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손님 입장에선 자신의 머리를 세련되게 가꿔줘야 할 사람의 이름이 촌스러우면 미용사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니 가명을 쓰게 된 것이라고 한다. 또한 과거에는 미용사란 직업이 그렇게 대우받거나 당당한 직업도 아니었다보니 자신의 과거를 감추기 위해 가명을 쓰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그밖에 해외에서 미용기술을 배워왔다고 어필하기 위해 외국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무속적인 ..
-
태국 국왕 앞에서 모두가 기어야 하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3. 7. 00:10
태국은 입헌군주제이지만 세습군주인 왕이 국가수반으로 군림하고 있다. 태국의 왕은 마하랏(국왕)이나 폐하라고 불리며 왕 앞에서는 총리도 무릎을 꿇어야 할 정도로 태국 왕의 권위는 높다. 태국 왕실법에 따르면 국왕과 대면할 때는 일정 거리 이상 물러선 채 엎드려야 하며, 불러서 곁에 다가갈 때 기어가도록 되어 있다. 심지어 이러한 요구를 외국인에게도 강요하는데 큰 틀에서 보면 주권침탈로도 보일 수 있는 문제이다. 태국 국왕이 이렇듯 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국왕이 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1932년까지 전제군주국이었던 태국은 그때까지는 왕이 거의 신격화되었으나 이후 무혈 구테타가 성공하면서 정권이 바뀌고 입헌군주제로 바뀌었지만 아직 그 잔재가 남아 있는 영향도 있다. 특히 라마 ..
-
까치까치 설날은 왜 어저께일까?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1. 28. 16:59
반달, 고드름, 기찻길옆, 고기잡이 등의 동요를 만든 것으로 유명한 윤극영 선생이 1924년 발표한 동요 설날에는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라는 가사가 있다. 그렇다면 까치 설날은 왜 어저께일까? 실제 1935년 한 신문에 '까치설'이라는 말이 등장하기 전까지 어떤 문헌에도 나오지 않았다. 까치설이 생긴 이유로 추정되는 설은 몇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설은 전통적으로 설날 전날인 12월 마지막날, 즉 섣달 그믐날을 '작은 설날'이란 의미로 '아치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아찬'이나 '아치'는 순우리말로 작은(小)을 뜻하는데 이 '아치'라는 말이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지면서 음이 비슷한 '까치'로 바뀌게 되었다는 설이다. 실제로 추석이 한가위라고 불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
-
세종시에 맥도날드가 없는 이유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5. 1. 9. 00:10
인터넷에 떠도는 우스갯소리 중에 세종시에는 맥도날드가 없다는 말이 있다. '빅맥을 먹으러 대전까지 가야 한다'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이다. 재미있는 것은 세종시에는 버거킹이나 KFC는 있다고... 세종특별자치시는 정부청사가 있는 행정중심 복합도시이다. 2022년 기준 인구는 약 38만 명으로 전국 50위 권이다. 하지만 인구성장률 부문에서는 전국 4위를, 평균연령에서는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23년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출산율이 1명을 넘으며 전국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024년엔 드디어 세종시마저 0명대로 떨어졌다) 이런 세종시에 맥도날드가 없다니 신기한 일이다. 이렇게 세종시에 맥도날드가 없는 이유에 대해서 맥도날드 본사에서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