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
에그타르트의 유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24
에그타르트는 리스본 외각에 있는 '파스테이스 드 벨렝'이라는 베이커리가 원조임. 근처 예로니모 수도원에서 수녀들이 달걀 흰자로 수도복에 풀을 먹이고 남은 노른자를 처치하기 위해 디저트인 에그타르트를 만들어서 자기들이 먹기도 하고 팔기도 했음. 그러다가 1834년 수도원이 문을 닫게 되면서 제조비법을 설탕업체에 팔게 되었고, 이 업체가 1837년부터 '파스데이스 드 벨렝'을 열고 여기서 판매함. 오리지널 레시피는 현재 비밀 장소에 보관되어 있으며 조리법은 소수에게만 공개하고 있다고 함. 이후 에그 타르트가 이게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마카오로 넘어갔고, 그게 한국의 홍대거리에 있는 어느 베이커리로 넘어오게 되면서 우리나라에 들어옴. 그밖에 캐러맬소스를 바르지 않고 영국식 커스터드 타르트의 영향을 받은 홍콩식..
-
곰탕이 진짜 곰고기로 만든 줄 안 일본 유튜버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20
저 유튜버가 저렇게 물어보는 이유가 실제 일본에서는 곰고기를 먹음. 육식동물 중 최상위권의 전투력을 갖고 있어서 잡기 어렵다는게 문제지 사실 곰이 서식하는 지역에는 곰을 잡아서 고기를 먹는 문화도 확실히 존재함. 일본의 경우 전골로 많이 해먹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홋카이도에는 곰고기 카레가 유명함. 된장에 재운 통조림도 있음. 아이누인들은 더 많이 먹었다고 알려져 있음. 일본의 경우 서민들이 소나 돼지고기를 먹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사냥한 고기를 대신 먹었고 그러다 보니 곰고기도 먹었음. 그래서 현재도 곰고기의 유통이 대중화되어 있음. 그밖에도 중국도 곰발바닥을 별미로 먹었으며, 곰이 많은 러시아, 핀란드, 미국에서도 곰고기를 먹음. 맛은 돼지고기와 소고기의 중간 맛이라고 하며, 곰이 어떤 음식을 먹었느냐..
-
감자의 싹에 있는 독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9
감자의 싹에는 솔라닌(Solanine)이라는 독소가 있어서 잘못 먹으면 식중독에 걸린다. 하지만, 감자의 싹을 도려내고 먹으면 안전하다. 다만, 싹을 도려낼 때 눈 부분이 남지 않도록 말끔히 도려내야만 한다. 감자를 햋볕에 오래 노출시키면 표면이 초록색으로 변하는데 이러한 부분에도 솔라닌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100g 짜리 감자에 20mg 이상의 솔라닌이 들어 있으면 먹었을 때 해가 될 수 있는데, 감자의 아린맛을 증가시키는 솔라닌은 구토, 식중독, 현기증, 목의 가려움, 호흡곤란 등을 유발한다. 민감한 사람들은 적은 양을 먹어도 편두통을 일으키기도 한다. 초기 유럽인들은 감자의 독성을 몰랐었어서 싹이 트거나 초록색이 된 감자를 그냥 먹었다가 탈이 나는 경우가 많아서 초기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
-
먹거리X파일에 NASA 기술로 만든 모터로 콩을 간다던 콩국수집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8
진X회X. 태평로 삼성회관 뒤에 있는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콩국수 집 중 하나. 이건희 회장이 즐겨 먹었다고 하며 서울시내 왠만한 유명인은 다 한번씩은 들렀던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원래는 고기, 볶음밥, 섞어찌개 등도 판매하지만 여름에는 오로지 콩국수만 판다. 여름에는 가면 거의 언제나 줄서서 먹어야 하며, 자리 앉자마자 선불로 돈 내면 콩국수가 바로 나오는 시스템. 그 흔한 계란, 오이 고명도 없으며 오로지 콩국물과 국수만 있다. 진짜 말 그대로 콩국물로만 승부보는 집. 위에 언급한대로 특수 모터를 이용해서 콩을 갈아서 국물을 내는 걸로 유명하며 지금은 모르겠지만 옛날에는 콩국물 내는걸 아무도 못보게 사장 혼자 방에 들어가서 갈아서 나왔었다. 실제 나사 기술력이 들어간 모터가 달린 분쇄기를 이용한다고..
-
아파트 1층에 살 때 엘리베이터 비용을 내야 하나?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5
1층에 살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사용료 납부 여부는 공동주택마다 있는 관리규약에 따라 다름. 1층에 살기 때문에 사용료나 유지비, 전기세를 내지 않는 경우도 있고, 유지비는 내지만 전기세를 내지 않는 경우도 있음. 이런 경우 거액인 엘리베이터 교체 비용이 들 때 분쟁이 생기기도 하는데, 일례로 2019년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엘리베이터 교체비용을 전체 입주민에게 동일하게 부과하려 하자 이에 반발한 1층 입주자가 소송을 제기, 법원에서 1,2층 아파트 주민들은 다른 층 주민들과 똑같이 승강기 교체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판결이 난 적이 있음. 최근에는 대부분의 아파트들이 주차장을 지하에 만들기 때문에 지하에서 1층으로 올라올 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 내는 경우도 있음.
-
진짜로 싸울 때 주의할 점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4
싸울 때 주의할 점. 상호폭행은 정당방위에 해당하지 않음. 그러니까 "상대가 먼저 때려서 나도 받아쳤다. 그래서 나는 정당방위다." 라고 백날 주장해 봤자 인정 안받음. 또한 도구를 사용하면 가중처벌됨. 도구를 이용하는 순간 적용 형법이 제260조에서 제261조로 바뀜. 그러니까 특수폭행에 해당된다는 얘기임. 또한 단체 또는 다중으로 폭행을 저질렀을 경우에도 해당됨. 또한 특수폭행의 경우 상대방과 합의를 보더라도 형사처벌을 피할 수 없음. 일반 폭행죄는 '반의사불벌죄' 라고 해서 상대방과 화해하고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합의가 되면 형사처벌받지 않으나 특수폭행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음. 하여간 싸움이 나면 밀치고 도망가는게 제일 좋고 부득이하게 폭행에 말려들었을 때는 빠르게 경찰에 신고하고 녹음..
-
젤다의 전설 - 꼬꼬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2
꼬꼬.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 전통적으로 나오는 동물. 젤다 시리즈의 무대인 하이랄에서 키우는 닭 품종이다. 평상시에는 온순하나 플레이어에게 공격을 당하면 어디선가 꼬꼬 수십마리가 날아오며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1991년작 신들의 트라이포스부터 나오기 시작했으며 최신작인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와 젤다무쌍에까지 나왔다. 일반적으로는 스토리 진행하는 서브퀘스트나 미니게임으로 여러 게임에 자주 나오는 마스코트라고 할 수 있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서는 오픈월드라는 점을 이용하여 몬스터가 꼬꼬를 공격하게 해서 꼬꼬가 몬스터를 공격하게 하는 사람도 등장했다. (혹시나 하고 꼬꼬를 하이랄 성까지 데리고 가려 해봤지만 그거는 실패했다고 한다)
-
북한과 합작으로 제작한 뽀로로부연설명 - 정보와 상식 2022. 6. 28. 22:11
뽀로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아이코닉스/오콘/하나로통신과 북한 삼천리총회사가 합작해서 제작하였다. 하나로통신이 투자조건으로 남북합작을 내걸었다고. 시즌1, 2 총 20편을 제작했는데 북한에 제작 하청을 맡기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북한이 그전까지는 2D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3D쪽은 경험이 없어서 처음에는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CD를 몇백장씩 왔다갔다해야 했고 의사소통은 팩스로만 가능했다고 한다. 말의 뉘앙스가 다른 점도 어려웠고 스택-탄창 등 용어도 달랐다고 한다. 이후 엄청난 인기를 얻은 뽀로로가 2012년 통일부 홍보대사가 되기도 했다. 2011년 미국이 대북제재를 강화하면서 '뽀로로도 수입금지되는거 아닌가?' 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미 재무부는 뽀로로처럼..